-
-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생 수업 - 인간의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정영훈 엮음, 김익성 옮김 / 메이트북스 / 2024년 8월
평점 :

철학은 삶 가운데 많은 것으로 삶을 윤택하게 하기도 하고 중요한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인생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삶의 길을 따라가는 길이기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해주는 인생 수업은 그 길을 더욱 윤택하게 해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철학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생 조언이 지금 이 시대에도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은 그의 조언이 무게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그 시대의 이야기가 지금 이 시대의 이야기로 각색된 것도 없지 않다. 그 시대의 사고가 지금 이 시대의 사고와 같았을 리는 없다. 누군가에 의해 조금씩 수정되어 온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의 인생 수업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묵직하고 놀라운 지혜를 안겨 주기에 주목하고 일고 열광하는 것이다.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을 최고의 선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 맞지 않는다. 그 선이라는 것은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행복이라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기준이 누구인가에 따라 행복이 바뀐다는 것은 절대 선이 없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행복 자체로 선택하지, 다른 어떤 것을 위해서 선택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런데 행복한 인생이 무엇인가?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동물이다. 그런데 그 행복의 기준이 무엇인가? 어떤 것이 행복하게 사는 삶인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은 사실 뜬구름 잡는 것과 같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지혜가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을 가르쳐 주지는 않는다. 행복을 어떻게 추구해야 하며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는 사실 인간 스스로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행복은 성품이 아니라 덕을 따른 활동이다?” 여기서 덕은 무엇인가? “이성적으로 사유하는 사람, 이것이 최고의 행복이다!” 정말 그러한가? 그렇다면 이 세상에서의 불행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돈, 타고난 재능, 외모, 우연, 이런 것들이 행복의 조건이 되는가? 인간의 심연 가운데 있는 그 즐거움의 감정을 끌어올리거나, 화를 참고 시샘하지 않고, 인간 본연의 욕구나 욕망을 무시하거나 부인하지 않는 삶이 행복한 삶인가? 그런데 이러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 가능한가?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중용은 사실 인간의 노력과 실천을 통해 얻어지지는 않는다. 그런 중용이 습관이 되면 행복한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은 공감이 어렵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행복을 이야기하면서,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을 이야기하는 데 사실 공감이 잘 안된다. 최고의 덕으로 정의에 대해서, 절제와 자제력과 인내심에 대해서도 생각을 할 수 있게 한다. 사랑과 우정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것과 즐거움, 고통, 행복 등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지만, 쉽게 공감되는 부분들은 사실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생 수업은 지금의 시대적 환경과 사고를 뛰어넘어 서로 융합해야 하는데도 그것이 쉽게 공감하지는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