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이 고통일 땐 타인을 사랑하는 게 좋다 - 나를 구하는 인간관계의 과학
앤서니 마자렐리.스티븐 트리지악 지음, 소슬기 옮김 / 윌북 / 2024년 8월
평점 :

극심한 고통 앞에서 서게 되면 그 슬픔은 말로 할 수 없을 정도로 끝 모를 깊은 어둠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어떨 때는 번아웃으로 인해 도망치듯 삶의 현장을 떠날 때가 있다. 그래서 타인을 향한 지나친 마음의 쏟아부음을 통해 ‘좋은 사람’이라는 소리를 듣고 싶어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려는 결국 자기 삶에 수많은 부담을 안겨주어서 오히려 더 나은 방향이 아니라 더 힘겨운 삶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은 이러한 우리의 생각을 바꾼다. “공감은 건강과 행복의 열쇠이며, 우리는 이타적 행동할 때 굉장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이득을 얻는다”라고 한다. 그래서 번아웃을 치료하는 치료제는 타인을 존중하고, 타인에게 집중하고, 더 많이 공감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공감은 타인과 자신에게 잃어버린 기쁨과 사람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렇게 타인을 향한 공감이라는 ‘친밀한 관계’를 통하여 손해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공감은 거래가 아니며, 다만 변화를 불러온다. 우리는 나 중심의 사람을 추구하면 산다. 하지만 자기중심의 세계관은 탐욕으로 흘러가게 되고, 최고의 사람을 추구하고 내가 생각하는 대로 살기를 권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 가운데 ‘나’ 중심의 삶은 오히려 피로도를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육체적 피로도를 높일 뿐이다. 그러므로 나의 관심이 자기 내부가 아닌 외부를 향할 때, 자신에게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건강한 삶이 되다는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늘 자신에 대해 집중한다. 그러나 비대해진 자아는 ‘내가 여기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내어주지 않는다. 많은 이들이 시간과 돈이 있으면 행복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갇혀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발견하는 것은 시간과 돈을 자신이 아니 타인에게 줄 때 더 행복해진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런데 많은 이들은 먼저 성공을 한 후에 베풂을 실천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삶에서 헹복과 성공을 얻는 이들은 ‘먼저 주는’ 사람이었고 덕분에 성공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에서 타인에게 베풀고 주는 삶이 더 행복하다는 것을 과학적 사례를 통해 제시한다. 실제로 성공한 이들이 삶 가운데 어떻게 베풀고 있으며 실천하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그래서 저자는 공감이 주는 놀라운 힘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인간이 살아가는 수많은 연결 가운데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적인 관심과 보살핌을 통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