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놀이의 기적
박성찬 지음 / 라온북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노는 것은 무엇일까? 아이를 그냥 내버려 두고 멀찍이 따로 떨어져 노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고, 아이가 멋대로 모든 것을 행동하게 하는 것이 주도적으로 노는 것으로 생각하는 부모들이 많다고 한다. 주도성은 스스로 자발적으로 무언가를 주도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주도적인 아이가 되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에게 고기를 잡아주는 것이 아니라 고기를 잡는 법을 가르쳐 주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들이 고기를 낚는 법을 배우고 연습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주도적 학습과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쓰였다. 자기 주도적 삶은 그냥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아이의 주도성만으로도 부모가 원하는 자기 주도 놀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놀이 장소는 아이가 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이면 모두가 놀이터로서 적합하다 할 수 있다.





육아가 힘든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육아를 너무 잘하려는 것과 타인의 눈을 너무 의식하기 때문이다. 임신하면서부터 비교하기 시작해서 산후조리원에서 듣는 다양한 육아 정보들은 사실 자기 주도하에서 육아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된다. 그러므로 이 책은 그러한 부모들을 통해 어떻게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키울 것이며, 행복한 육아가 될 것인가를 알아가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아이는 놀아야 한다고 말한다. 숲속미술학교의 숲속 놀이터에는 도전의 산이라고 불리는 놀이건물이 있는데, 피라미드처럼 생긴 산이다. 한쪽으로는 암벽 등반을 통해, 한쪽으로는 계단을 통해 올라갈 수 있다. 아이들은 그냥 두면 자연스럽게 암벽 등산 쪽으로 간다고 한다. 그런데 부모들은 위험해 보인다는 이유로 충분히 올라갈 수 있는 아이임에도 계단을 통해 올라가라고 이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것은 실패해도 된다는 것이다. 실패의 두려움에 함몰되면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다. 그러나 놀이터에서는 실패는 하나의 즐거움의 연속이다. 그러면서 배우는 것이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것을.

 





숲속미술학교에서는 놀이의 주도권을 아이에게 준다고 한다. 그런 아이들의 주도성을 이끌어내는 것이 숲속미술학교 놀이터라고 한다. 수많은 경쟁과 치열한 싸움이 기다리는 아이들 이 자기 주도권을 올바로 끄집어내어 사용할 수 있독 해주는 것이 바로 이런 자기주도성 놀이라는 것이다. 부모는 이거 하자 저거 하자라고 하지 말고 반 발짝 뒤에서 떨어져 지원하며, 응원하고, 격려하면 된다는 저자의 말이 마음이 담긴다. 잘 논다는 것은 놀이의 주도권이 아이에게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모의 과한 개입은 아이에게 자기주도권을 빼앗는 것이기 때문에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고,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놀이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그 경험이 축척되어 자기 자신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지는 아이들은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 지, 무엇을 잘하는지,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 몸의 균형감각이 있는지, 음악적 소리에 예민한지, 리더십이 있는지,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어떻게 위험에 조심해야 하는지를 깨닫고 알게 된다. 이러한 것들은 결국은 자신을 알아가는 데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자신의 장단점을 제대로 보고 자기 자신에 대한 고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자신의 재능도 발견하게 되는 시간이 된다는 것이다.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많은 정보를 주고 또한 도움을 주는 책이다. 자기주도 학습이 유행처럼 번지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자기 주도는 마냥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에서는 말해준다. 아이의 감정이나 마음, 심리적 요인 증 많은 사항들을 짚어주는 책이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