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싯다르타 ㅣ 열림원 세계문학 4
헤르만 헤세 지음, 김길웅 옮김 / 열림원 / 2023년 12월
평점 :

헤르만 헤세의 책은 항상 많은 도전을 준다. 하지만 헤르만 헤세의 책은 또 다른 도전이라는 마음이 들게 하기도 한다. 쉽게 읽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 헤르만 헤세는 극심한 신경쇠약과 우울증을 겪으면서 자신의 작품 세계를 이루어 갔기에 그러한 자신의 정신병적인 것들이 작품에 많이 녹아 있다. 그래서일수도 있지만 헤르만 헤세는 자신의 이야기가 승화되는 상징과 비유가 가득한 작품들이 많다. <싯다르타> 또한 그러한 자신의 끊임없는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책은 싯다르타의 행적을 이야기한다. 글의 행적을 뒤따르며 그의 그런 이유에 집중하고자 했다. 뜬금없는 이야기로 전개 되기도 하고 전혀 이해가지도 않는 이야기로 연결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러한 복선의 작업을 통해서 저자인 헤르만 헤세는 결국에는 독자들이 그 실마리를 풀 수 있도록 해 놓았고, 결말에 이르러서야 '그렇지'하는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헤르만 헤세는 <싯다르타>에서 고타마 싯다르타를 석가세존과 바라문의 아들로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저자인 헤르만 헤세는 불교의 일반적인 해석과는 동 떨어진 해석을 내어 놓는다. 싯다르타의 역할을 새롭게 보여준다. 그리고 불교의 정신과 진리에 있어서의 깊은 탐구를 하게 한다. 왜 그런 작업을 해 놓았을까? 헤르만 헤세가 불교에 대해서는 사실 잘 몰랐을 수도 있다. <데미안>에서의 기독교적 색채는 매우 깊었다. 그런데 <싯다르타>에서는 그 깊이가 그리 깊어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그의 깊은 사색이 만들어낸 자신만의 철학적 전환과 더불어 놀라운 색채를 독자들에게 선사한다.


싯다르타와 고타마의 만남이 이 책의 시작이다. 이 만남을 통해 보여주는 싯다르타의 모습은 전형적인 헤세의 철학을 반영해준다. 이것은 헤세의 작품의 특징으로 깨달음이라는 것이 단순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렵고 복잡한 사고와 결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싯다르타는 고타마의 가르침을 들은 후에도 자신만의 방법으로 진리를 깨닫기 위해 그 고난의 여정을 가게 된다. 일한 싯다르타의 세속적 고행은 뷸교의 고행과 일치한다. 욕망과 사랑과 돈의 위력그리고 타락의 모든 것들이 불교에서 가르치는 그 가르침과 비슷하다. 그러나 인간은 욕망덩어리라서 아무리 수행을 한다한들 그것이 어느샌가 스며드르어 자신을 옥죄게 된다. 세상적 욕망을 세속적 경험을 통해 씻어 버릴 수는 없다. 이러한 과정을 불교적 가르침으로 승화하려 한다.
그렇게 세속적 욕망을 다스리려는 싯다르타에게 고빈다는 싯다르타가 고민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준다. 강물의 소리를 통해 깨닫게 된 싯다르타. 그는 이러한 깨달음을 통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전환의 새로운 역사를 맞이하게 된다.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헤세가 독자들에게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독창적이고 독특한 불교의 이해이다. 이 작품을 통해 헤세는독자들에게는 다양한 생각과 깊은 사고를 하게 해준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