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공부 - 논어에서 찾은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주는 즐거움과 이로운 점은 무한하다. 하지만 책이 모두에게 그렇지는 않다. 저자는 <논어>를 통해 깨달음을 이야기한다. 공자가 우리에게 주는 깨달음과 지혜는 수많은 서적과 지혜서가 범람하는 이 시대 가운데 <논어>에서 전하는 ‘사람다움’을 알기 쉽게 가르치고 있다. 공자의 일이관지를 삶에 적용하고자 하는 저자의 일련의 노력은 모두가 공자의 가르침대로 가지는 않는다. 세상이 추구하는 물질을 중심으로 모든 이들이 이전투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자가 가르치는 예는 갈수록 실종이 되고 사회적 양극화와 더불어 약자에 대한 배려의 몸짓과 눈길은 이미 사라진지 오래되었다.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말은 이미 예전에 버렸다. 또한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말에도 놀라운 역설이 들어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공자의 '일이관지'를 중심으로 요즘말로 하면 섬기고, 돌아보고, 바로 세우는 것을 이야기 한다. 그래서 서로 마주보고 '충'과 '서'의 가르침을 통해 실천하는 삶의 방식을 제시하지만 그것이 정말 가능한 것인가에는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왜냐하면 끊임없는 성찰과 수련을 요구한다. 그리고 자신의 잘못된 점을 고쳐나가는 사람됨의 완성을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람됨의 완성이 정말 공자의 가르침으로 완성되는가 하는 의문은 여전하다.

 

 





 

 

 

저자는 <논어>의 문장을 가지고 와서 현대인들에게 적용하고자 한다. 그래서 일상이 바쁜 현대인들에게 다시금 도덕적 인간관계를 제시한다. 그러나 저자가 요구하는 인간관계라는 것이 지금 이 시대에 정말 통용될 수 있는 것인지, 또한 필요할 때 마다 곁에 두고 꺼내 읽을 만큼 효용성이 있는 것인지는 사실 선뜻 동의하기는 힘들다. 아무리 좋은 책이라 해도 그건 인간의 말이다. 신들의 말이라는 성경이나 부처의 말이라는 법경 또한 인간을 변화시키는데는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공자의 가르침을 따라 가다가 나라가 큰 어려움을 겪은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자신의 마음을 수련하고 자신이 공자의 말을 따라 살아가는 것은 이 책에서 요구하는대로 하면 그럴수도 있겠다는 마음이 든다.

 

 

그럼에도 논어를 통해 삶이 바뀌어진 사람들은 분명 있다. 그럼에도 변화된 사람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이 대다수다. 이것은 저자도 동의한다. 저자는 이들의 가장 큰 차이점을 사람으로 꼽는다. 저자의 말대로 논어를 통해 배운 것을 실천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의 차이를 이야기 한다. 빠르게 변화되는 시대 속에서 저자의 외침이 많은 이들에 제대로 전달되는지는 궁금하다. 그래서 저자는 모든 무게 중심을 자신에게 둔다. 모는 배우는 것을 자신에게 둘 때 저자가 말하는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고 사랑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서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고대의 인물인 그것도 중국의 석학이라할 수 있는 공자의 논어를 가지고 많은 이들에게 어필한다. 그러나 지금의 중국은 어떠한가 공자의 그 사상이 남아 있는가?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학문과 사상이 더 많은 이들으 마음을 이끈다. 그리고 그 시대의 정신이 정말 사람을 변화 시킨다는 것에는 지금도 의문이 든다. 잘 읽었다. 그래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 많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