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르너의 색상 명명법 - 현대 색상 표준 체계를 세운 세계 최초의 색 명명집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패트릭 사임 지음, 안희정 옮김 / 더숲 / 2023년 11월
평점 :

[베르너의 색상 명명집]은 현대 색상 표준 체계를 세운 세계 최초의 명명집이다. 색을 알기 쉽게 명명한 것이 베르너라니 참으로 놀라울 따름이다. 미술에 대해서는 잘 알지는 못하지만 세계 최초로 색을 명명했다고 하는데 관심이 생겼다. 베르너는 독일의 광물학자이며 지질학자이다. 그는 영국의 화가이자 미술교사인 패트릭 사임과 함께 세상에 나타나는 색상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이름을 지정하려는 최초이자 가장 포괄적인 시도를 하였다고 한다.
자연의 색상을 담아 놓은 팔레트처럼 펼쳐지는 110개의 색 견본들과 상세한 설명들을 하고 있다. 그래서 디지털 시대에 놓치기 쉬운 물리적 세계의 색상이 가진 뉘앙스와 아름다움을 우리에게 전해준다. [베르너의 색상 명명법]은 자연에서 발견된 사례들과 색채를 많은 예술가와 자연 연구자들에게 널리 활용 되었다고 하니 그 가치는 말로 할 수 없을 정도다. 뒷쪽에는 1821년판 영문 원본이 수록되어 있어서 더 깊은 의미를 알수 있도록 해놓았다.

부록으로 함께 동봉된 브로마이드에는 100가지의 색이 다 실려 있어서 한 눈에 보기에도 좋다. [베르너의 색상 명명법]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색채를 분류하고 설명하는 독보적인 안내서다. 그래서 이 책은 세상에서 나타나는 색상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이름을 지정하므로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된다.
110개의 색 견본들에 대한 설명들이 자세하게 되어있어서 색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패션이나 미술 등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색이 놀라운 역할을 설명한다.




1814년에 처음 출판된 [베르너의 색상 명명법]은 1821년 개정판이 나왔고, 이 책은 두 책을 합쳐서 출간된 원본이다. 또한 이 책에 실린 색 견본은 베르너 때의 것과 최대한 일치시키기 위한 작업을 통해 완성이 되었다고 한다. 베르너는 독일 작센주 프라이부르크 광산전문학교 교수로 저명한 광물학자이자 지질학자였다. 베르너 당시에 색채 견본이 일반 표준으로 예술계와 과학계에서 오랫동안 염원해 왔지만 색을 정확게 분류하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룬 베르너의 성과는 대단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색을 명명할 때 다양한 표현들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색의 이름의 기준이 되는 표준 체계의 정립을 베르너의가 작성이 작성하였다는 것은 획기적인 일이다. 그것을 명명하기 위한 베르너의 기준과 색상 목록에서 색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방식은 지금 보아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베르너가 거쳐온 과정들은 쉬운 과정이 아니었고 매우 정확한 기술을 사용하여 단순한 색상 분류서의 한계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사실 새을 사용하고 주변에 많은 색이 넘쳐나지만 그 색을 언제 누가 명명했는지 관심이 없었는데, 이 책을 통하여 색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고 그것을 통하여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을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