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이라는 위로
은현희 지음 / 사람in / 2023년 11월
평점 :

책의 표지에 이런 글이 있다. "삶이 흔들릴 때마다 책을 펼쳤다" 책은 인생의 고비마다 그 물줄기를 건널수 있게 해주는 대단한 힘이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훌륭한 작가들은 자신의 삶에서 고통스럽게 발견한 비밀들을 타인의 이야기를 빌려 독자들에게 들려주기도 한다"고 말한다. 또한, 세계 문학을 읽는 동안 시공을 초월해 낯선 세계를 여행하는 기분을 느낀다고도 한다. 문학이라는 게 우리에게 빛의 속도로 중력을 거스르는 비밀을 알게 해준다고 하니 그 속으로 빠져 들고 싶다. 그래서 문학이라는 것이 우리 다가와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하는 삶의 보편적 질문을 쏟아내어 그 질문에 답하게 하는 놀라운 기회를 선사한다. 그래서 그 빛과 같은 모습으로 다가온 문학이라는 장르는 나의 가치를 하나씩 들추어 내어 결국에는 나를 더욱 빛나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이 책은 21가지의 문학 작품을 다룬다. 그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명작들이다. 처음에 다루는 작품은 디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이다. 인간자격을 박탈할 권리라는 제목이 붙은 글이다. 이글에서 저자는 무엇이 우리에게 빛과 생기를 앗아가는 것일까. 사람이 왜 한순간에 늙어버리는 걸까. 디자이 오사무는 그의 작품 <인간 실격>에서 인간사의 불행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저자의 문학 작품에 접근하는 방식이 신선하다. 누구나 한번쯤 고민하는 문제들을 저자는 자신의 생각과 문학 작품 속에 일어나는 일들을 통하여 연결하여 설명한다. 그러면서 <인간 실격>의 저자 디자이 오사무와 닮은 <슬픔이여 안녕>을 저자 프랑스 작가 프랑수아 사강을 떠올린다. 그들의 영혼이 닮아 있다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그리고 많은 이들에게 읽힌 테네시 윌리엄스의 작품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해설하면서 '산에 핀 제비꽃이 바위를 부순다'라는 제목을 붙인다. 아마도 '산 속의 제비꽃이 바위를 깨트렸다'는 윌리엄스의 묘비명을 그대로 가져온 듯하다. 제비꽃이 바이올렛이다. 이 제비꽃을 많은 명사와 예술가들이 사랑했다. 제비꽃은 작고 그리 볼품이 없다. 하지만 그 제비꽃은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 돌을 쪼개 내는 위력을 발휘 한다고 하니 그것은 윌리엄스의 인생을 닮아았다는 은유라는 저자의 말에 공감이 간다.
책을 읽으면서 새롭게 해석되는 저자의 글에 감탄했다. 알고 있는 작품도 있고 전혀 새로운 작품들도 있다. 신선한 충격에 할말을 잃었다. 저자의 문학 작품에 대한 깊은 공부가 느껴진다. 저자가 한 권의 책을 아주 간략하면서도 배경과 줄거리, 작가의 상황 등을 잘 섞어서 새로운 이야기처럼 만들어 놓았다. 이런 내공은 하루 이틀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많은 문학 작품을 일고 또 깊은 생각과 정리가 필요하다. 그래서 그동안 몰랐던 것들을 알게 되고 그 문학 작품 속에 녹아 있는 깊은 의미들을 쪽집게 과외처럼 알려 준다. 그래서 신선하다. 재미 있다. 그리고 시간이 가는 줄 모른다. 저자의 책에 깊은 공감이 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을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