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부터는 왜 논어와 손자병법을 함께 알아야 하는가 - 이 나이 먹도록 세상을 몰랐다는 걸 깨닫는 순간 100 ㅣ 최고의 안목 시리즈 1
모리야 히로시 지음, 김양희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10월
평점 :

인간의 특성상 나이가 든다고 인간관계가 좋아지고 쉬워지는 것은 아니다. 나이가 들수록 인생의 허무를 더 많이 느끼고 깨닫고 인생이 무상하다는 것을 더 깊이 깨닫는다. 인생의 수많은 시간을 보내고 맞이하는 50이라는 숫자는 그리 낭만적이지 않다. 그래서 중년의 삶이 더 힘들고 어려울수도 있다는 것이다. 젊은 시절은 목표를 향해 쉼없이 달려 왔기에 많이 고민하고, 흔들리고, 부딪히는 삶이었지만 오십을 넘으면서부터는 그런 흔들림 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는 사람을 살게 된다. 이 책의 저자인 모리야 히로시는 동양 고전해설의 일인자라고 한다. 저자 자신이 인생의 오십 이후를 맞이하닌 깨달아지는 것을 인문학적으로 풀어놓은 책이 바로 [오십부터는 왜 논어와 손자병법을 함께 알아야 하는가]이다. 이미 91살의 인생을 산 저자가 인생의 수많은 흔들림을 경험한 선배로서 많으닝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저자는 현재를 사라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인간관계라고 한다. 요즘은 MZ세대와의 소통이나 그들의 생각을 도저히 이해할 수도 따라갈수도 없다고들 한다. 그러나 저자는 [논어]와 [손자병법]을 통하여 이러한 갈등을 해소할 것을 조언한다. [논어]는 공자의 가르침을 제자들이 기록한 글이다. 다양한 인간관계론을 말하는 책이다. 거기에 비해 [손자병법]은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 책이다. 이 두 책의 공통점은 전혀 없어 보인다. 그런데도 저자는 두 책은 공통점을 통하여 지금을 살아가는 많은 이들에게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해소시켜주려고 한다. 인간관계라는 것은 [논어]나 [손자병법]이나 공통적으로필요한 것임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논어]와 [손자병법]을 통해 사람의 깊은 것까지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저자의 주장은 일리가 있다. 모든 것은 다양한 인간관계를 통해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기때문이다. 공자는 "오십에 천명을 알았다."고 했다. 흔들리지 않고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를 오십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과는 전혀 다른 상화이지만 오십이라면 하늘의 뜻이 무엇인지를 조금은 깨달아야하지 않을까?
그래서 공자가 [논어]에서 주장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은그 어떤 상황에서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 군자의 자세다. [논어]에 이런 글이 나온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에 맞게 익힌다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그리고 손자병법에 이런 글이 나온다. "知彼知己 百戰不殆(지피지기 백전불태)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이러한 인간관계의 방법들을 [논어]와 [손자병법]에는 가득하다는 것이다. 지금 이 땅을 살아가는 중년들에게 이 책처럼 유익한게 잇을까? 성공을 향해 달려온 수많은 길 가운데 늘 넘어지고 쓰러지고 하루에도 수십번 그만 두고 싶은 마음이 가득한 인새에 주는 보약 같은 이야기들이 가득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오십부터는 왜 논어와 손자병법을 함께 알아야 하는가]를 일어야 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늘 인간이라는 존재는 성공에 목말라 있다. 그것을 추구하고 쫓아온 인생이기에, 무언가를 추구하고 눈을 들어 하늘을 보고 쉼어도 보는 것이 아니라 전쟁처럼 살아낸 인생들에게 오늘 저자는 이 책을 권하고 있다. 그래서 살아내기 급급한 것이 아니라 전쟁처럼 숨막히는 인생이 아니라, 고단하고 싸움의 연속이지만, 그래도 살아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어떤 세상의 속임수에도 머어가지 않는 그런 인생이 되기를 저자는 말하고 있다 그러려면 저자의 책 [오십부터는 왜 논어와 손자병법을 함께 알아야 하는가]를 보아야할 것이다. 인생의 다양한 걸림돌들을 어떻게 헤쳐나가고 넘어갈 것인가에 대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다. 이 책은 어디를 펴서 읽어도 된다 순서 없이 읽어도 된다 목자만 훑으면서 감동되는 구절을 페이지를 펼쳐보아도 된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없듯이 인생이란게 늘 흔들리기 마련이다. 그 흔들이는 인생을 잡아주고 버티게 할 무언가가 우리에게는 필요하다. 그래서 저자는 [논어]와 [손자병법]을 제대로 읽는 법을 가르쳐 준다. 인생의 냉정하고 서슬퍼런 현실 앞에서 오십을 먼어 인생을 끝을 향해 달려가는 수많은 이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는 책이다. 그렇다고 젊은 이들에게 필요없는 책인가? 그렇지 않다.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책이다.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