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역사 - 울고 웃고, 상상하고 공감하다
존 서덜랜드 지음, 강경이 옮김 / 소소의책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울고 웃고, 상상하고 공감하다'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문학의 역사의 시작과 과정을 통해 오늘날 문학이 자리하게 된 배경과 이야기들을 나열하고 있다. 사실 문학의 역사라는 것이 너무도 방대해서 제대로 요약하기가 쉽지 않음에도 그동안 우리가 접하지 못했던 수많은 문학 작품들과 배경들을 아주 쉽고도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작가가 펼쳐놓은 문학의 발자취를 따라가면 저자 특유의 해석으로 여러문학 작품들을 만나게 된다.

 

 

그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이 문학이다. 시대를 벗어나서 그 시대의 이야기를 쓸 수는 없다. 그래서 문학은 그 시대상을 통해 그 당시 사회 문화를 알게 해주며, 그 시대속으로 빠져들어 가게 한다. 문학의 역사는 신화를 바탕으로 시작하면서 이후 건국의 서사시로 발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일어나는 비극적 이야기들은 인간의 희노애락을 담아 더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점점 더 인간과 함께 공생하게 되는 문학은 인간 사회에 있어서 결코 떼려야 뗄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저자는 [문학의 역사]를 통해 우리가 그동안 알지 못했던 문학의 역사를 상세하게 알려준다. 이 책의 표지가 재미있다. 하얀 종이에 판화로 찍어낸 듯한 표지 그림이 재미있다. 모비딕, 돈키호테, 드라큘라, 스핑크스, 셰익스피어, 찰스 디킨스. 저자는 문학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면서 책장을 연다. 저자는 문학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진실을 말하는데, 첫째, 우리는 분명 문학이 삶에서 아주 중요하단고 여긴다. 둘째, 문학을 '소비'한다고들 하지만 접시위에 놓인 음식과 달리 우리가 소비한 뒤에도 문학은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다. 그래서 저자는 문학의 결론을 흰 종이 위에 찍힌 작고 검은 약호들, 곧 '글자들'의 고유한 조합이라고 말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세상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능력의 정점에 이른 인간의 지성이라고 한다.

 

 

글이 없던 시대는 어떻게 문학을 했을까? 구전으로 내려온 신화와 그 신화를 글로 남긴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 메소포타미아의 <길가메시 서사시>, 그리고 인쇄술 발달이 가져온 출판을 통한 문학의 기하급수적 발달, 책을 읽는 대중의 확대, 베스트셀러와 그에 대한 관심의 폭발, 문학에 얽힌 이야기, 그리고 저자만의 독특한 구조를 통해 어쨌든 계속되어지는 문학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다양한 문학의 장르를 소개한다. 성직자들의 전유물인 성경이 종교개혁을 통해 번역 됨으로 일반인들도 성경을 배우게 된다. 급속한 인쇄술의 발달은 책의 전반적 보급을 불러왔다. 문학이 발전한 이유는 결국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때문이다. 그 어떤 것에도 죽음보다 더 깊은 통찰을 주는 것은 없다. 죽음 앞에서의 모든 인간은 겸손해진다. 그래서 그 죽음을 조금이도 더 늦추기 위해 겸손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이 책이 말하는 문학의 역사는 서양 중심의 문학의 역사이다. 동양 문학이 중심이 배제되고 중심부에서 밀려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만 그러나 동양과 서양의 인식의 골이 조금씩 메워져 같은 눈높이에서의 문학을 이야기하는 시대가 오기를 바래본다. 이 책은 문학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책이다. 읽기 쉽게 쓰여져서 누구나 읽을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