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열림원 세계문학 1
헤르만 헤세 지음, 김연신 옮김 / 열림원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미안>은 한 젊은 영혼이 자신의 틀을 깨고 더 크고 더 위대한 세계로 나아가는 자전적인 글이다. 사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웬만한 내공으로는 읽고 소화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그 역시 인간이기에 자신 안에 있는 깊은 고뇌를 깨트리기 위해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과정이 폐부 깊숙히 전해진다. 깊은 사색을 통한 그의 글은 철학적이면서도 굉장히 상징적이다. 또한 성경 속의 모티브를 통해 자신의 어린 시절의 성장기를 다룬다. 헤르만 헤세의 책들은 다분히 철학적이이고 사색적이며 깊은 고뇌를 통해 자신을 말하고 있기에 찬찬히 그 내용을 음미하면서 읽어야 마침내 정상을 도달하는 것 같은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헤르만 헤세는 이 책을 1919년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발표한다. 성직자였던 부모님의 품처럼 밝고 따사로운 세계에만 속해 있던 주인공 싱클레어는 남들과 같이 자신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기위해 거짓말을 하게 되고 그것이 그에게 족쇄가 되어 끊을 수 없는 쇠사슬로 남게 된다. 그런 일들을 겪으면서 내면 가운데 일어나는 갈등과 복잡미묘하면서도 불안에 떠는 자신을 끊임없이 미워한다. 그리고 그에게 종속되어가던 어느날 그의 그 모든 것을 새롭게 바꾸는 한 사람이 그의 인생에 들어오게 된다. 더이상 비참해질 수 없는 상태에까지 이른 싱클레어 앞에 나타나 그의 조력자가 되고 인도자가 되어 그의 미래를 바꾸어 놓는 신비롭고 규정되지 않는 존재가 데미안이다. 그는 데미안을 통해 도저히 빠져나올수 없는 깊은 수렁에서의 삶이 밝은 햇살이 비추이는 아름다운 인생이 된다. 그리고 데미안과의 우정을 통해 점점 더 자신의 아픔을 극복하고 성장해 나가는 것을 보게 된다.


 

<데미안>을 통해 헤르만 헤세는 자신의 유년기를 투영하면서 인간이 묶여 있는 도저히 빠져 나올 수 없는 세계 속에서 무엇이 그를 회복 시켰는지를 보여준다. 아이들의 우두머리 행세를 하는 프란츠 크로머로 인해 아름다워야 할 그의 유년 시절이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의 그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그가 요구하는데로 모든 것이 점점 순응해가는 자신을 보면 비참해 하는 그의 모습이 현실 속의 우리의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현대인들에게도 이러한 단단한 알 껍질의 굴레가 씌워져 있다. 그것을 깨기란 정말 어렵다. 그것을 깨기만 하면 밖으로 나올 수 있지만 사실은 어떤 외부의 힘이 필요하다.


 

데미안은 인간을 구속하는 커다란 굴레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굴레를 벗어나는 것이 자신의 힘으로 만은 안 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 책은 소설이지만 굳이 소설의 범주에 넣어야 하는가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 책의 깊은 의미는 인생에 있어서 누군가의 힘이 있을 때 자신을 덮고 있고, 자신이 빠져 있는 그 굴레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마다 책을 읽을 때 느끼는 감정이나 해석하는 능력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이것이 정답이다 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이 책을 읽는 독자마다 데미안을 자신에게 적용시켜 본다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줄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신이 직접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다만 책에서 말하는 데미안과 같은 존재는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바라보았을 때, 신을 지칭한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이 책을 찬찬히 음미해 본다면 반드시 달콤함의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