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양심이 없다 - 인간의 죽음, 존재, 신뢰를 흔드는 인공지능 바로 보기
김명주 지음 / 헤이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는양심이없다 #김명주 #헤이북스 #인간의죽음 #인공지능

 

 


 

 

AI가 언제부터인가 우리 생활 깊숙히 들어오게 되었다.

사실 이 기술은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는 그리 관심이 가는 기술이 아니었다.

그런데 너무도 빠른 속도로 우리 일상생활을 점령하고서는

예전부터 존재해왔던 것처럼 어는 순간 친숙한게 되어버렸다.

이제는 이런 AI가 없는 우리의 삶과 생활을 상상할 수 없게 되었다.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주는 편리함은 있지만 그로인해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또 다른 위험성과 올바르지 않는 방법으로 악용할 경우 

인간의 미래는 밝지 않을 것이다.

실재로 많은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그런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악용되는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의 점들을 저자가 책을 통해 밝히고 있다.

편리함을 넘어서 인간에게 사회문제로 다가오는 AI 기술이 그리 반갑지 않는 이유이다.

 

 

그 어떤 기술이든 발전은 해야겠지만 그에 따른 반대급부가 존재하기 마련이고,

이로인해 발생하는 불편함이나 불행은 인간의 몫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예를 들어 자율주행 장치의 자동차의 새로운 기술은 부작용과 역기능을

함께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AI 를 대하는 것 역시 그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염려 가운데서도 저자는 AI가 가져올 부작용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그런 문제들을 이 책에서 제시하고 살펴 보고자 하는 것이 저자의 의도이다.

 

 

인공지능은 입력된 값을 통해 오로지 입력값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다.

인간은 그렇지 않다. 다양한 응용능력을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인간 만이 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닌 철저히 계산된 방식을 사용하므로 편리함은 있지만

위험성과 더불어 응용이 되지 않음으로 오류를 발생시켜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이에 대한 기술적 보완과 더불어 더 진보된 작업을 통해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것이다. 그러나 한계는 분명히 있다.

 

 

저자는 책에서 AI의 다양한 차별적 행태들을 고발한다.

이러한 것은 개발한 사람의 실수 일수도 있지만,

거기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이 책은 인공지능에 대한 의미나 성과에 대한 평가,

계속해서 대두되는 부정적인 평가나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등.

아직은 그 기술을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가 이러한 기술의 공격을 체감하게 될지도 모른다.

분명 인공지능은 많은 변하를 일으키고 있고,

사회전반에 걸쳐 유익한 것을들 보여 주고 있지만,

분명히 명심해야 하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지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책은 해당 분야에 대한

가이드북으로 활용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AI가 가져다 주는 부작용, 역기능, 인간에게 주는 영향, 거기데 대한 대안.

저자의 깊은 통찰과 고민, 그리고 깊은 연구가 만들어낸 좋은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