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흑역사 - 세계 최고 지성인도 피해 갈 수 없는 삽질의 기록들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양젠예 지음, 강초아 옮김, 이정모 감수 / 현대지성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들어가는 글에서 “과학자에게 개척정신은 근본적인 자질이다. 개척정신 없이 과학도 없다”라고 말한다. 과학자는 개척자다. 개척이라는 장르는 쉬운 길이 아니다. 그런데 개척자들의 길에는 늘 어려움과 시행착오가 있게 마련이다. 미국의 서부영화를 보면 개척자들의 삶이 그리 녹록지 않음을 알게 된다. 또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에디슨 역시 과학의 개척자였고, 라이트 형제 역시 개척자였다. 개척자라는 것이 그 방면에 무모한 것 같은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개척자들이다.


 

저자가 과학자들의 흑역사라고 책의 제목을 붙인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과학사에서 과학자가 거둔 성공보다는 그들이 저지른 각종 실수와 실패가 더 흥미진진하고 교훈적이라는 저자의 말에 동의한다. 과학자가 저지를 실수가 때로는 상상하지 못한 과학적 성공을 불러온 일들도 많다.


 

저자는 이 책은 저자가 오랫동안 관심 있게 살핀 주제를 정리했다고 밝히고 있다. 26가지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이 두 가지 유익을 얻기를 바란다고 들어가는 글에서 말한다. 첫째, 갈릴레이, 뉴턴, 퀴비에, 가우스, 오일러, 맥스웰, 아인슈타인과 같은 뛰어난 과학자에게도 흑역사는 있었다는 것이다. 둘째, 앞선 사람들의 실패 경험과 교훈을 본보기로 삼는다면 앞으로 과학연구에서 몇몇 실수와 실패는 피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 책은 1부 천문학자의 흑역사, 2부 생물학자의 흑역사, 3부 수학자의 흑역사, 4부 화학자의 흑역사, 5부 물리학자의 흑역사로 이루어져 있다.


 

사실 과학이라는 것이 쉽지 않은 학문이다. 가장 먼저 스티븐 호킹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스티븐 호킹은 자신의 새로운 견해(블랙홀의 경계가 가진 성질이 열역학의 엔트로피 법칙과 같다는 사실)에서 시작하여 블랙홀에 관 통념을 단번에 뒤집는다. 그래서 이론물리학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블랙홀은 검지 않다”라는 개념을 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것은 호킹 자신이 틀렸음을 알게 된다. 과학사에서 이와 비슷한 일들이 많이 일어났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저지른 가장 멍청한 실수에 대하여도 말하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1917년 2월 논문을 발표하기 전 이미 우주가 팽창 혹은 수축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관념에 영향을 받아 자신이 발견한 가능성을 포기했고, 우주 상수 A를 도입하여 우주는 변함없이 정적이라는 관점을 뒷받침하려 한 아인슈타인 생애 가장 멍청한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이 책은 흥미롭다. 우리가 과학 시간에 들었든지 어디서 들었던지 한 번쯤은 들었을 법한 과학자들의 실수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그런데 그런 실수를 보면서 그들이 얼마나 과학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애썼는지를 보게 된다. 저자는 칸트의 말을 인용한다. “하늘에서 별이 반짝이면, 지상에서는 가슴이 뛴다.” 아마 우주를 연구한 르베리에나 수많은 과학자가 그러하지 않았을까? 과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고, 과학에 흥미가 없는 독자들에게도 읽어보기를 권한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많은 에피소드가 지면마다 우리를 유혹한다. 저자의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한 이 책이 더 많은 독자에게 읽혔으면 하는 바람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