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지노와 소셜 스낵 - 소셜미디어,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한 중독자들
최영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이 책은 우리의 일상이 된 소셜미디어의 중독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그 소셜미디어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는 처방을 알려 준다. 소셜미디어는 카지노의 자극과 매우 유사한 자극을 준다. 한 번 들어온 고객이 자리를 떠나지 못하게 하는 행동디자인에 기반한 설득 기술이 스마트폰에 녹아있다. 끊임없는 자극과 쾌락을 동반한 경쟁과 보상은 끊임없는 소비와 집착으로 이어지게 된다.
소셜미디어의 콘텐츠는 주목 경제의 핵심이다. 그것을 지탱해주는 광고나 서비스는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소비자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그래서 더 자극적이고 끊임없는 컨텐츠 제공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의 고객을 향한 구애는 고객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의 끝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컨텐츠의 홍수 속에서 모든 서비스는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좋아요의 함정에 끝없이 빠져들게 한다.
이런 현상은 카지노 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중독과 같다. 중독은 다양한 기제를 통해 자극이 가해지고 반복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빠지게 되는 것이다. 술이나 마약, 도박이 이같은 자극을 끊임없이 인간들에게 제공하는 그것을 받은 인간들의 본능은 그것을 따라가면서 중독이 시작되는 것이다. 지금 우리 곁에 잇는 소셜미디어가 이같은 중독을 일으키는 자극제다.
도박 중독에 걸린 사람의 뇌와 마약 중독에 걸린 사람의 뇌가 비슷하다. 우리가 특정한 목적 없이 인터넷의 콘텐츠를 소비하고 교류하는 것은 인터넷의 병리적 중독의 예다. 결국, 어떤 이유로든지 자심을 회피하는 도피처로 인터넷에 접근하고 사용하는 것은 중독에 이르게 되는 지름길이다.
단순히 인터넷에 접속하여 시간을 보내는 것을 알았는데 이 책을 읽다 보니 소셜미디어 중독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그러므로 아무 생각 없이, 목적 없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습관적으로 메일을 체크하고 카톡과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시간을 보낸다면 의심해봐야 한다. 소셜미디어 중독은 아닌지 다시금 돌아봐야 한다.
이러한 중독에 빠지게 되면 결국 사회적 고립, 회피, 도피라는 문제로 이어지게 되기 때문에 항상 이런 문제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독이 불러오는 여러 가지 폐해는 인간의 삶을 갉아먹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
저자는 중독사회를 향한 처방전 등을 제시한다. 소셜미디어 속에서 방황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 빠져나와 삶의 기본적 양식인 산책과 독서를 통해 더 나은 삶의 걸음을 걷기를 제안한다. 삶에서 너무 밀착된 소셜미디어에서 금방은 탈출하지 못하겠지만, 더 나은 삶을 위해 한 걸음 더 노력하여야 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