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들아 학교를 부탁해 - 학교에서 스쿨처치를 세워 가는 10대들의 이야기
나도움.이정현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적 변화로 인한 학교 현장의 변화와 시대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아이들의 사고가 기독 교육 현장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 책은 두 가지를 반복한다. 하나는 찾아가는 것, 그리고 또 하나는 자발성이다. 이 책이 중점적으로 말하는 것은 찾아가는 것이다. 예전의 교회는 찾아오는 곳이었지만 이제는 찾아가야 만날 수 있고, 찾아가야 대화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뀐 것이다. 시대적 요구가 바뀐 것이다.


 

예수님의 사역을 보면 찾아가는 사역이었다. 수많은 무리가 예수님을 찾아오기는 했지만, 핵심적인 사역은 친히 찾아가시는 사역이었다. 그렇다면 교회 교육도 학생들이 있는 학교나 학원 현장으로 찾아가야 하는 것이 맞다. 이전의 방식이 아닌 예수님의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책의 저자들은 학생들의 자발성을 강조한다. 요즘 아이들을 바라보는 교회 교사나, 리더들은 학생들을 굉장한 수동적 존대로 여긴다. 그래서 친히 이것저것 챙기고 먹여주고, 이끄는 방식의 교육을 여전히 하는 것 아닌가. 그래서 교회학교 학생들은 교회가 하나의 학원처럼 여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에 나가지 않으면 신앙이 없고, 신앙이 없으면 지옥 간다는 논리로 무장한 채, 마치 국영수 점수가 떨어지면 큰일 나는 것처럼, 신앙 역시 그러하다고 치부해 버린다. 이런 인식은 아이들은 꼭 교회에 나와야지만 된다는 논리로 이어지는 것이다.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점수가 나오지 않는 것이지 학원을 가지 않아서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예배 태도신앙생활은 자발성의 문제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스쿨처치 사역은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찾아가는 사역은 지금, 이 시국에 가능한지를 타진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그렇다고 넋 놓고 있을 수는 없으므로 이런 사역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직접 학생들을 찾아가서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의 의문점도 남는다. 그런데 이런 사역이 가능한 교회가 몇 교회나 될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재정이나 인력이 뒷받침되는 교회는 쉽게 시작할 수 있겠지만, 개척교회 같은 미자립교회들은 그것이 가능할지에 대한 궁금증이 든다.


 

이 책의 저자들은 우리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잘 전달해주고 있다. 그리고 스쿨처치를 하면서 경험한 크리스천 학생들의 간증 역시 가슴을 뜨겁게 한다. 그래서일까? 가슴에 불이 일어난다. 해볼 만하다. 희망은 아직 우리에게 있다. 그런 생각이 들자 하나님이 일하심이 보인다.


 

하나님은 아직도 한국교회를 돌보시고 여전히 일하고 계신다는 것을 깨닫는다. 안 된다는 생각이 앞서지 않게 기도하며,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 힘으로 하려고 하면 결국은 실패한다. 귀한 책이다. 다음 세대를 변화시키고 부흥케 할 사역자들, 그리고 교회학교 교사들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 생명의 말씀사 도서지원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