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관자 효과 - 당신이 침묵의 방관자가 되었을 때 일어나는 나비 효과
캐서린 샌더슨 지음, 박준형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8월
평점 :

사실 방관자라는 것이 남의 일에 끼어들었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우리는 의도치 않게 방관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그런 방관자로 인해 사회는 더욱 어두워져 가고 또 하나의 피해자들이 생겨난다. 방관이 불러온 수많은 비극을 막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이 책은 제시한다.
방관자 효과라는 것은 도움이 필요할 때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자신의 개입을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런 일들은 인간이 살아가는 그 모든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왜 피해를 당하는 사람을 보고도 침묵하게 될까? 왜 소수의 사람만이 행동하고, 다수의 사람들은 침묵하며 방관할까? 이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저자는 이러한 방관 자효과가 사회적으로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에 대해 경고한다.
저자는 다양한 사건을 제시하면서 왜 인간의 본성이 나쁜 쪽으로 선택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원인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런 사건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면서 왜 선한 사람이 그런 끔찍한 사건을 일으키는지도 설명한다. 이 책은 무엇이 나은 미래를 향한 현명한 선택인지 깊은 고민하게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내가 그런 현장에 있었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 하는 것이다. 방관자인가 적극적 문제해결자인가? 자신이 없다. 누구나 그러하지 않을까? 그러나 언제까지 방관자로 살아갈 수는 없다.
저는 이 책은 깊은 고민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 책의 어떤 행동에 있어 나타나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을 이야기한다. 나쁜 행동에 개입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또는 나쁜 행동을 하는 상황을 목격하고도 왜 침묵하는지? 왕따나 대학 내에서의 성폭력 등과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을 길게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 2장은 어떻게 맞설 것이며, 그런 행동을 통해 얻게 되는 것과 그런 행동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책을 읽어갈수록 내용에 깊이 빠지게 되는 이유는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 가운데 실제로 그러한 상황 가운데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와 그 행동의 결과가 어떠할까? 라는 의문 때문이다. 저자는 독자에게 책 속에 나오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할 것을 제시한다. 만약 내가 그런 상황에 부닥친다면 과연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알아보기를 원해서일 것이다. 그래서 읽을수록 집중이 되는 책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