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 ㅣ 넥서스 경장편 작가상
권여름 지음 / &(앤드) / 2021년 8월
평점 :

요즘은 남녀노소 갈리것 없이 다이어트를 하는 시대다.
먹을 것은 넘쳐나고 , 욕심대로 먹다가는 몸이 내 몸이 아니기에,
좋아하는 것을 맘껏 먹고 다이어트를 하는 시대가 지금이다.
먹는 것에 비용을 지불하고,
거기에 다시 그 먹은 것을 덜어내는 작업으로 돈을 지불하는 시대다.
여자나 남자나 할 것 없이 매력적인 몸을 소유하기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이 다이어트다.
그만큼 여지금 이 시대는 외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뜻이 아닐까?
선천적으로 살이 찌지 않는 사람이 외에는
살을 빼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다이어트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진 삶을 살고 있기는 하지만,
책은 처음 접했을 때 소설의 제목 치고는 꽤 눈길을 끌었다.
표지에 당당히 "단 하루라도 존중받는 몸으로 살고 싶다"는 문구는
이 책이 다이어트를 위한 책인지,
아니면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한 책인지 의심하기에 충분했다.
주인공 '봉희'는 구유리 건강 힐링센터의 코치이다. 어느 날 사건이 일어난다.
봉희의 관리아래 다이어트하던 '운남'이 단식원에서 사라진다.
자신이 맡은 프로그램을 성공시키기 위해 운남을 꼭 찾아야 한다.
그런대 의심이 들기 시작한다. 정말 단식을 통해
건강하게 살을 뺄 수 있을까?라는 의심이다.
자신이 아는 것이라곤 다이어터와 코치라는 것 말고는 전혀 없다.
단식원에 들어오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제껏 해 왔던
다이어트에 실패한 사람들이다.
그래서 최후의 수단이 단식원이 된 것이다.
단식원은 이들의 최후의 보루다.
이곳을 벅어나는 순간 다시금 이전의 삶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절실하다. 인생의 중요한 터닝 포인트가 될 장소가 단식원이다.
많은 이들에게 뚱뚱하다는 눈길에 시달리던
그 삶으로 돌아가는 것은 죽는 것보다 싫은 삶이다.
그래서 단식원은 이들에게 삶의 이유요 자신의 의지를 보여줄 최후의 수단이다.
주인공 봉희 역시 이 단식원에서 다이어트에 성공하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된 것이다.
평생을 거절당하고 업신여김을 받았던 봉희였다.
그래서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통해
함께 희망을 꿈구기를 바래서 코치가 된 것이다.
이 단식원은 봉희에게는 희망이 이었다. 처음 인정 받은 곳이었다.
유일하게 소속감을 느끼게 해주는 곳이었다.
단식원 바깥의 삶은 살찐 몸으로 돌아가
또다시 실패라는 지그지긋한 삶을 되풀이하는 곳일 뿐이다.
하지만 이 단식원은 그렇게 절실하고 취약한
사람들을 교묘하게 이용하는 곳이었다.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그 맛이 씁쓸했다.
이 책은 정상을 정상으로 보지 않는 사회를 꼬집는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그리 정상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야기가 조금 지루한 면이 있다. 그리고 급작스런 결론은 조금은 의아하다.
가볍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단식원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주인공 봉희처럼 자신을 사랑하는 모습으로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