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이 목소리를 듣는 것이 우리의 정의다 - 버닝썬 226일 취재 기록
이문현 지음, 박윤수 감수 / 포르체 / 202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버닝썬’ 관련 사건은 2019년 한 해를 뒤흔들 만큼 강력했다. 아직도 풀리지 않는 의혹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난 실체는 상상 그 이상이었다. 마약, 성범죄, 탈세, 경찰과의 유착, 등 까도 까도 실체가 드러나지 않고 의혹만 증폭된 사건, 거대한 권력과 그 무엇이 도사리고 있는지, 감추고 은폐한 사건이었다. 명쾌한 답도 없고, 그렇다고 완전한 해결도 아니고, 뱀의 꼬리를 자리듯 그렇게 어물쩍 넘어간 사건은 이젠 국민의 뇌리에서도 가물가물하게 되었다.
『지금 이 목소리를 듣는 것이 우리의 정의다』 다시금 2년여 전의 사건에 대해 밝히고 있다. 버닝썬 226일 취재 기록. 저자가 밝히는 ‘버닝썬’ 사건의 내용.
‘우연’으로 시작된 취재를 통해 김상교라는 인물이 말하는 진실에 다가가기가 쉽지 않았다. 거대한 것이 가로 막고 피해자가 가해자로 둔갑했다. 그 버닝썬이라는 일개 클럽에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협조적인 경찰은 말할 것도 없고, 모든 것이 은폐와 조작의 연속이었고, 보이지 않는 거대한 힘이 그들을 보호하고 있었다. 기자의 근성이랄까? 기자들은 취재했고, 물러나지 않았다. 그런 사건의 취재 과정의 긴박한 모습과 현실적인 어려움, 위험한 순간들이 현장에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책이 보여주는 놀라운 진실의 기록은 가히 박수를 보낼만하다. 언론이 권력이나 부에 기대면 부패한 언론이 된다. 하지만 투철한 언론인 한 사람의 시작으로 이 거대한 세력을 무너뜨리지는 못했지만, 건드리고 터트린 것만으로도 대단하다. 언론의 역할은 감시하고 고발하는 것이다. 기자가 직접 발로 뛰고 유착관계를 파헤치는 과정을 통해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이 깊게 드러난다.
모든 정보가 기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에서처럼 우연을 통하여 거대한 세력의 꼬리를 잡은 것만으로도 언론의 역할 했다고 본다. 그러한 사명감으로 일한 기자가 있었기에 우리가 알지 못했던 진실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된 것이다. 이제는 대중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사건이라 할지라도 제2, 제3의 버닝썬 사건이 되풀이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그래서 이미 지나버린 사건이라 할지라도 그 사건에 대한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
‘버닝썬 사건’은 우리가 생각지 못한 거대한 세력과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는 추악한 민낯이다. 잊고 지나가기에는 그 파장이 너무나 크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공명정대하며 신속한 법집행을 소원하고 있다. 그런 바람은 너무 먼 먼 나라의 이야기인가? 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부의 브리핑은 일벌백계하고 재발 방지를 다짐한다, 하지만 현실은 늘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안다.
우리가 이 책을 읽고 있는 오늘 현재, 과연 그 시절보다 더 나아진 것은 있는지?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