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란 삼각
김성수 지음 / 바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시를 읽는다는 것은 즐거움이다.

아니 즐거움을 찾아가는 고행길이다.

저의 시집 동그란 삼각은 함축된 언어다.

동그랗든지 아니면 삼각이든지 둘 중위 하나라고 우리는 배웠고,

그렇게 사유하기를 강요당하는 세상에 서있다.

어떻게 보면 우리의 사람을 비유하는 듯 하다.

모순덩어리인 우리의 삶 말이다.

그래서 저자의 시는 함축이 심하다.





 

 

 

저자의 시는 짧다. 그런데 깊다. 깊이 생각해야 한다.

몇 줄 안 되고 몇 자 없는 시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쏟아낸다.

사실 시를 서평 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시는 그냥 시로 읽고 시로 즐겨야 한다.

시인이 시를 쓰면서 자신을 담아내려 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 속에 깊이 박힌 무언가를 쏟아내어

켜켜이 쌓인 먼지를 털어내듯 털어내는 과정을 통해 시를 썼을 것이다.

시를 읽으며 마음 저 깊은 밑바닥에서

무언가 울컥울컥 올라오는 것을 느꼈다.

시인의 마음을 읽어서일까?

아니면 나 역시 시인 못지않은 차곡차곡 쌓인 외로움을

털어내려 했기 때문은 아닐까하는 생각들이 스쳐 지나갔다.


 

 


 


김성수 시의 시니시즘(Cynicism)은

인간 존재의 부조리와 모순을

아니러니컬하게 드러내는 태도이다.

그것의 극복을 지향하기 위한 정신적 토대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삶의 외로움을 말한다. 

그리고 인간의 고독을 깊이 있게 풀어낸다.

그의 시집은 상징적인 언어들로 가득하다. 

짧지만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한다. 

그리고 인간의 감정 이면에 드리운 모순들을 날카롭게 끄집어 낸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