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와 장자, 희망을 세우고 변신을 꿈꾸다 - 성정의 세계를 대표하는 두 거장의 이야기 시대와 거울 포개어 읽는 동양 고전 2
신정근 지음 / 사람의무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도 내가 조선시대 양반의 아들로 태어났다면 과거시험을 위해 맹자와 장자의 책을 줄줄이 외워야 했을 것이다. 어려운 한문은 둘째 치고 동양철학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을텐데, 옛 선인들이 필독서로 삼았던 맹자와 장자를 오늘에 와서는 대부분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과거와 단절되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 책을 보니 현대인들이 책읽기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여러가지 배려를 한 점이 돋보인다. 우선 저자가 성균관대학교 교수로서 동양철학의 전문가답게 강의식으로 친절한 어법을 사용하고 군데군데 칼라사진은 흥미를 돋우기에 최상의 수단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보통 인문학 강의를 보면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진행하기도 벅찬 경우가 많다. 맹자 한편만 해도 되는데 왜 맹자와 장자를 엮어서 책이 출간되었을까. 사람은 보통 독특한 기호가 있어서 제자백가 중 자신의 취향과 비슷한 사상가를 편애하게 된다. 그러나 하나만 알면 놓치는 것이 있는데 제자백가는 다른 사상가의 글을 끌어오면서 인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저자는 제자백가중 한 인물의 사상을 잘 알려고 하면 하나만을 읽을 것이 아니라 다른 사상가들과 크로스 체크를 해야한다라고 주장한다. 맹자와 장자를 묶은 이유는 먼저 비슷한 시대를 살았고 당시 철학계의 핫 이슈로 떠오른 마음'심 心'의 문제를 함께 씨름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씨름한 결과는 너무나 달랐고 그래서 맹자와 장자를 하나로 엮어서 비교해 볼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맹자와 장자의 결정적인 차이는 성선(性善)과 제물(齊物)에 있다. 맹자는 성정에서 사람이 똑같지만 발현에서 차이가 나므로 그 차이에 따라 차등적인 사회질서를 꾸리려고 했다. 장자는 성정에서 사람이 다르고 발현에서도 다르므로 그 다름을 개인의 고유성으로 인정하자고 했다. 

맹자는 사람이 같은 반응을 보이는 객관적 구조를 성선(性善)이라고 보았다.

예를 들어 만약 스쿨존에서 아이가 차도로 갑자기 뛰어들어 차와 부딪치려고 할때 대부분 사람들은 아무 생각없이 아이를 구하려고 할 것이다. 긴박한 순간에 나의 행동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에게 닥쳐올까 냉정하게 계산하고 나서 움직이지 않는다. 맹자는 이런 사람의 마음을 불인인지심, 즉 다른 사람을 차마 내버려두지 못하는 마음이라고 했고 이 마음은 이해를 뛰어넘는 순수한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 제 마음을 남김없이 드러내면 제 본성을 꿰뚫게 된다. 제 본성을 꿰뚫으면 내 안의 하늘을 꿰뚫게 된다. 제 마음을 꿰뚫고 본성을 기르면 내 안의 하늘을 모시게 된다. 일찍 죽건 오래 살건 흔들리지 않고 몸을 갈고 닦아서 다음을 기다리면 최대치를 바로 세우게 된다."

 

  

장자는 마음을 담(淡)과 허(虛)의 이미지와 술어로 묘사하고 있다. 담은 음식 맛이 싱겁고 사람의 태도가 차분하며 성격과 교제에 별다른 목적이 드러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허는 공간을 전제로 하면 텅 빈 상태를 가리킨다. 마음은 어떤 특성을 드러내는 센터가 아니라 그 무엇으로 규정할 수 없는 텅 빈 자리가 된다.

 "당신의 마음을 담박한 상태로 노릴고, 기를 고요한 상태와 맞추어서 사물(사태)이 저절로 그러함에 따라가며, 사적인 바람을 집어넣지 않는다면 온 세상이 다스려질 것이다."

 

 

​나는 요즘 너무 일이 많아 밤늦게 퇴근하고 심지어 주말까지 출근해서 일하기도 한다. 다람쥐 체바퀴 돌듯이 시간이 지나고 나이를 먹게 되면, 뒤를 돌아본들 그리고 앞을 내다본들 내 자신의 삶이 아닌 것 같아 고전을 읽어 보며 마음을 달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