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 개정증보판
강형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유네스코 본부에서는 총회를 통해 세계의 아름답고 지켜야 할 문화 유산에 대해 '세계 문화유산'이라는 타이틀을 준다. 우리나라에도 세계 문화유산이 많다. 석굴암,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화성,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등 우리의 문화유산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그런 문화유산을 사진으로 볼 수 있게 한것이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이다. 이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에는 고인돌, 백제 금동 대향로, 경주 첨성대, 신라의 유리그릇, 한국의 서원, 가야, 하회 별신굿 탈놀이, 한글 등 다양한 한국의 유산을 사진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조상들이 남긴 훌륭한 문화유산은 어디에 내놓아도 자랑스럽다.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은 금동으로 만들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반가 사유상이다. 전 세계 불교문화 예술품으로 역사상 가장 조형미가 뛰어난 걸작이라고 평가받는다.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의 오묘하고 잔잔한 미소는 불교의 깨달음과 희망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에 살던 고유의 동물들 중 멸종된 동물도 있다. 한반도에 호랑이가 살았지만 지금은 볼 수 없는 동물이다. 한반도를 호령하던 용맹한 한국 호랑이는 순우리말로 '범'이라고 한다. 동북아시아를 서식지로 하고 있어 시베리아 호랑이와 같은 핏줄로 백두대간 최상위 포식자다. 우리 조상은 호랑이를 좋아했고 영험한 동물로 경외하고 숭배했다. 호랑이는 단군 신화에도 나올 만큼 우리 민족과 오랜 시간 함께해 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