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이기원 디스토피아 트릴로지
이기원 지음 / 마인드마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공지능 AI가 세상에 나와 우리 생활의 일부를 차지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조금씩 발전하던 인공지능이 이젠 인간처럼 생각하고 답을 내는 생성형 AI로까지 발전했고 인간은 그런 인공지능에 많이 의존하며 생활한다. 인공지능이 주변기기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 인간을 심판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 인간을 심판하는 법은 해석하는 이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곤 한다. 그래서 내려지는 법의 판결 또한 다르게 된다. 인공지능 AI가 인간의 죄를 심판한다면 좀 더 공정하고 평등한 판결이 나올 수 있을까하는 의문도 생기면서 호기심도 생긴다. 뉴소울시티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거주민들은 개인공 인공지능을 지급받는다. 개인용 인공지능'고스트'는 비서처럼 일거수일투족을 모두 기록하고 해야 하고, 알고 싶어하는 것들을 알려준다. 픽서인 우종은 전날 연인 희도와 술을 마셨지만 기억이 나지 않았고 고스트인 곤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려준다. 술을 마시고 한 실수를 줄일 수 있게 희도에게 연락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코칭하기도 한다.




우종은 출근길에 양훈 소장의 전화를 받고 교통사고 현장으로 바로 간다. 교차로에서 난 교통사고로 2명이 사망했다. 주위 CCTV 영상들과 차량에 기록된 영상들을 합쳐보며 사고 당시의 상황을 파악한다. 기계 오작동으로 사망한 사고라고 결론내린다. 그런데 시스템상으로 완벽했지만 최근 오작동으로 사고가 증가하고 있었다. 뉴소울시티는 인류가 멸망하고 남은 곳으로 전국기업인연합에서는 인공지능 판사 '저스티스-44'를 개발한다. 인공지능 AI가 인간을 심판하는 것이다. 뉴소울시티의 모든 고객이 저스티스-44에 대한 굳건한 신뢰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뉴소울시티의 시스템에 대한 신뢰이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범죄나 사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었다. 픽서인 우종은 감사본부의 모니터팀 영무를 찾아간다. 우종은 사고 영상을 보면서 계속해서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 사고의 장면 때문에 영무를 찾아온 것이다. <사사기>는 인공지능 판사의 이름인 '저스티스-44'에서 따온 제목이다. 사사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을 통솔하던 판관이자 통치자들을 뜻하기도 한데 우연의 일치였는지 인공지능 판사의 이름이 되었다. 뉴소울시티에 사는 사람들은 인공지능 판사가 기존 판결의 수많은 오류 데이터를 학습했기에 제대로 된 판결을 내린다는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인공지능이 완벽한가,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가하는 의문이 생기면서 앞으로 인공지능 AI가 어디까지 발전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