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알려주는 우리 몸의 위험 신호
모리 유마 지음, 이성희 옮김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큰 병은 큰 전조증상 없이 갑자기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전조증상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아 초기를 놓쳐 병을 더 키우기도 한다. 인간의 몸은 병에 걸리면 다양한 곳에 신호를 보낸다. 피부가 가려운 것은 피부 문제일 수도 있지만 사실 간 질환의 경우 피부가 가려울 수도 있다. 이렇게 가려움을 간 질환과 관련시킬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 나타나는 작은 신호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입과 폐에 나타날 수 있는 신호로는 얼마 전까지 괜찮았던 동작이나 운동을 할 때 평소보다 숨이 더 자주 차기 시작하면 심장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수면 중에 숨이 차서 무의식적으로 침대에 안거나 벽에 기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병원에 가봐야 한다. 누워 있을 때 숨이 가빠지면 가좌호흡을 하게 되고 가좌호흡을 하게 되면 참지 말고 구급차를 부른다. 혈압은 노화가 되면서 생기게 되는 병이라고 생각한다. 신장이 나빠지면 혈압이 쉽게 상승할 수 있다. 혈압이 상승하고 혈관 벽에 상당한 부담이 가해지면 신장 혈관이 좁아지고 결국 신장 기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매일 우리의 신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소변이다. 소변에 나타나는 내장 질환의 신호로 야간 빈뇨를 들 수 있다. 심장이 좋지 않을 경우 밤에 나타나기 쉬운 증상 중 하나가 야간 빈뇨이고 남성의 경우 전립선 문제 등도 생각해볼 수 있다. 심장이 안 좋아진 원인으로 야간 빈뇨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당뇨병의 초기 증상으로 빈뇨다. 갈증과 마찬가지로 빈뇨는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로 최근화장실 가는 횟수가 급격히 늘어난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당뇨병은 눈이 쉽게 침침해지고 체중이 줄어든다. 목이 자주 마르고 무좀에 걸리기 쉽고 피부가 가렵기도 하다. 소변 횟수가 증가하고 면역 기능이 떨어지기 쉽다. 당뇨병은 자주 일어나 움직이면서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걷기, 조깅, 수영, 댄스 등 유산소 운동을 적극적으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