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민족시인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 윤동주 시인의 시와 인상파 화가이자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이 만난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은 어쩜 이리도 잘 어울리는지 시 한 편 한 편을 읽으면서 느꼈다. 시화는 전혀 이질적인 것이 아니고 오히려 잘 어울려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동주와 반 고흐는 비슷한 감성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2025년은 윤동주 시인이 서거한 지 80주년이 되는 해로 반 고흐와의 시화전은 추모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은 영혼과 정서가 가장 닮은 두 예술가가 시대를 넘어 한 공간에서 만나 감동을 준다. <동주와 반 고흐 영혼의 시화전>의 첫 번째 시는 '자화상'이다. 시 '자화상'에서 윤동주는 고백적 시적 화자 자신을 성찰하는 사람의 상황을 우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는 시다. 이 시엔 반 고흐의 자화상이 한 페이지에 있다. 이 자화상은 반 고흐가 친구이자 화가인 폴 고갱에게 헌정한 그림이다. 두 사람은 친구가 되어 서로의 자화상을 교환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다른 자화상과는 다른 분위기를 자아낸다. 깔끔하고 정돈된 반 고흐의 모습이 보이고 그림의 색감 역시 반 고흐의 다른 그림이나 자화상과는 달리 영적인 느낌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