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문해력 우리말 일력 365
노경실 지음 / 낮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말에는 우리가 잘 모르고 있지만 아름다운 말들이 많다. 이런 아름다운 우리말을 자주 사용하고 접할 수 있어야 하지만 요즘은 예쁜 우리말보다 외국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초등 문해력 우리말 일력 365>을 통해 초등학생에게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가르쳐주고 문해력을 올려준다. 매일 하나씩 배울 수 있는 우리만 365개는 탄탄한 실력을 가지게 한다. <초등 문해력 우리말 일력 365>에서는 매일 한 장씩 넘기면서 예쁜 우리말을 배울 수도 있지만 ㄱㄴㄷ순으로도 되어 있어 찾아볼 수 있다. 1월을 해오름달이라고도 하며 첫번째 예쁜 우리말은 '새뜻하다'는 말이다. 지저분함이 없이 말끔하고 깨끗하며 시원하다는 의미다. 일력은 우리말 단어 하나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그 단어의 품사가 무엇인지 알려준다. 새뜻하다는 '그림씨'로 형용사를 의미한다. 우리말의 뜻과 의미를 읽을 수 있고 예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알 수 있다. 또 비슷한 말까지 있어 어휘력, 문해력이 쑥쑥 늘어난다.




그림씨와 같이 품사를 나타내는 다른 단어로 이름씨가 있다. 이름씨는 사물의 이름을 의미한다. 어찌씨는 용언이나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는 품사로 부사라고 부른다. 매인이름씨는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를 말한다. 자밤은 손가락 끝으로 집을 만한 분량을 의미하고 매인이름씨다. 그리고 움직씨가 있다.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로 늘키다는 움직씨다. 소리 내어 울지 못하고 억지로 참으면서 흐느끼는 동작을 말한다.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말을 매일 배울 수 있는 일력 중 사자어금니라는 말이 있었다. 사자어금니는 이름씨로 없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사람이나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름다운 우리말이 이런 사자어금니가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