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다나카 유이치 지음, 이성희 옮김, 서승범 감수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면접의 단골 질문 중에 하나가 자신의 강점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거의 자기소개급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자신의 강점을 찾아본다. 이렇게 자기 분석을 해도 자신의 강점을 찾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약점만 떠오르기도 한다. 자신이 강점을 찾고 싶지만 막상 찾으려고 하면 상당히 어렵다. 강점을 찾으려는 이유는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곳에서 일하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누군가의 기대에 부응해야 하고 성과는 상대가 주는 것이다. 자신의 내면에서 강점을 끄집어내기보다는 상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 자체를 강점으로 삼는 편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다.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 이렇게 어렵던 강점 찾기도 쉬워진다. 자신의 독특한 강점으로 승부하는 사람은 그렇데 많지 않다. 강점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자신이 잘한다고 생각하는 기술도 그것을 발휘하는 상대나 주환경에 따라 그 가치는 크게 변한다. 현재 환경에서의 강점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환경이 바뀌면 약점이 될 수 있다. 강점은 시대에 따라서도 변한다. 이렇게 변화의 시대에 자신에겐 이것밖에 없어라고 단정 짓고 한 가지 기술만을 추구하는 것은 불안한 일이기도 하다.




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고 성과를 내 인정받고 감사하다는 말을 듣고 싶은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라는 일이다. 진정한 강점을 만들기 위한 워크시트를 작성해본다. 1단계는 목표 설정하기다. 목표는 고민을 반전시켜 찾을 수 있다.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따지지 말고 일단 생각하는 대로 이상적인 모습을 써내려가 보는 것이 중요하다. 2단계는 상대 축 정리하기, 3단계는 경쟁자 축 정리하기, 4단계는 자기 축 정리하기, 5단계는 진정한 강점 만들기 순이다. 이 모든 단계는 워크북으로 직접 작성하고 써 볼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자신이 발전시킬 수 있는 강점을 발견했다면 평소에 개선해나간다. 진정한 강점을 발휘하려고 해도 어느새 행동의 축이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와 설정한 기간도 잊기 쉽다. 몇 번의 행동으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꾸준히 행동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정말 중요한 것은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의견에 무조건 따르기보다는 자신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검증해나가는 사람이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