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왕권 신화
맹성렬 지음 / 투나미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집트라고 하면 피라미드와 파라오, 미이라 등 이집트를 한번에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사자의 서'에서 고대 이집트 종교는 파라오 중심이었으며 상당 부분은 파라오가 주인공인 왕실 종교에서 사용된 무구들을 채용하여 '사자의 서'를 만들었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 왕실의 가장 중요했던 종교의식인 장례식이나 대관식에서 죽은 왕은 오시리스라는 신과 동일시했다. 사자의 서에 나타난 오시리스는 궁극적인 승리의 신이고 적들을 물리치고 명계의 통치자가 되며 아들 호루스를 이승의 통치자로 우뚝 세운다. 오시리스 신화에서 신체가 조각나서 죽었다는 얘기는 사지 및 비육체적 요소가 살아 있는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다는 종교적 신념의 표현을 위해 필요한 기제였을 수도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왕은 죽으면 오시리스화 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들에 의한 첨단 기술로 복원한 미이라는 신왕국 시대의 최전성기를 구가했던 위대한 파라오 람세스 2세였다. 람세스 2세는 투탕카멘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이집트 파라오 가운데 한 명이다. 람세스 무덤에서 부장품이 도굴괴지 않고 투탕카멘처럼 미라와 함께 고스란히 발굴되었다면 투탕카멘과 비교 대상도 되지 않았을 것이다. 람세스 2세는 수많은 정벌로 넓은 영토를 확장하여 고대 이집트를 증흥시킨 역사적 인물이었다. 람세스 2세에 의해 수도 테베에 건축된 대표적인 건축물은 람세시움이다. 이 건축물은 상당 부분 폐허가 되어 오늘날에는 그 당시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성지는 태고의 언덕으로 고대 이집인들은 강박적으로 종교 의례와 관련된 모든 곳에 지성소인 태고의 언덕을 꾸며놓았다. 원초적 물에서 솟아오른 최초의 땅으로 신들이 그곳에 살고 있었다고 고대 이집트인들은 믿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