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의 장소 - 작은 카페, 서점, 동네 술집까지 삶을 떠받치는 어울림의 장소를 복원하기
레이 올든버그 지음, 김보영 옮김 / 풀빛 / 2019년 7월
평점 :
사회가 빨리 변하듯 매일매일 신조어들이 생겨나는 듯하다. 그래서 이번 <제3의 장소>도 현대에 생겨난 새로운 개념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제3의 장소>라고 해서 완전 새로울 것 같지만 알고보면 완전히 새로운 개념도 아닌 것 같다. 오래전에도 이런 장소는 존재해 왔지만 현대에 들어 개념을 확정하고 분류했다. 가정, 직장에 이어 '제3의 장소'는 비공식적인 공공모임의 장소이다. 이런 장소들은 포용적이고 지역적이기 때문에 지역공동체에 기여한다. '제3의 장소'는 주민 통합의 기능을 한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매일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장소로 그 지역 사람들이 즐기는 곳이다. 그런데 현대는 그런 '제3의 장소'를 사무실로 이용하는 경우가 흔해지고 있다. 여러 나라에서 자기 사무실을 유지할 돈이 없는 사업가들이 음식점을 사무실처럼 이용하고, 펍을 사무실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제3의 장소는 하루 중 언제 가더라도 아무 때나 거리낌없이 갈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시간적으로나 위치상 방문하기 용이해야 하기에 접근성과 편의면에서 제3의 장소를 선택하는데 큰 작용을 한다.
독일계 미국인들이 만든 라거 비어 가든은 이민자들이 가지고 온 유럽의 전통이다. 독일 이민자들은 공동체 생활에서 비공식적인 모임 장소가 갖는 중요성을 생각해 저렴한 가격으로 성공하게 된다. 비어 가든은 미국의 경쟁적인 경제 시스템과 꾸준한 사교 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데 기여했다. 영국엔 펍과 클럽이 있지만 클럽은 오랜 전통을 지닌 영국 사회의 불평등의 상징이었다. 반면 펍은 일반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당국의 허가를 받은 음주시설이었다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카페가 발달하는데 동네 카페는 작고 소박하기 때문에 손님이 인근에 사는 몇 가족뿐이라도 운영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처럼 세계 곳곳에서 오래전부터 제3의 장소가 존재하고 있다. 현대에는 조금은 변화한 모습을 가지기도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제3의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제3의 장소는 지인들과 친목의 장소도 되고 개인의 사업장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치와 민주주의가 싹 튼 장소이기도 하다. <제3의 장소>는 저저가 오랜 기간 집필을 했고 도시사회학에 새로운 개념을 정립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