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어머니
데일 살왁 지음, 정미현 옮김 / 빅북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적인 인물들 중에는 자신이 평생 만든 업적보다도 더 유명한 일화나 가족들의 이야기가 있다. 소크라테스는 수천년 전의 인물이지만 악처가 있었고, 세계적인 문호인 톨스토이에게도 악처가 있었다는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 이들에겐 악처가 있었지만 또다른 인물들에겐 끝없는 사랑의 아이콘인 '어머니'가 있었다. 영국의 작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등장하는 어머니는 가모장적인 느낌을 강하게 받을 수 있다. 당시의 다른 작가들의 작품에 비해 셰익스피어의 어머니 캐릭터는 강하면서 큰 역할을 맡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머니가 가족 내에서 강력한 존재임을 드러내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미국의 시인 월트 휘트먼은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다고 한다. 편지를 쓰더라도 '사랑하는 어머니'로 시작해 '어머니께 사랑을 전하며'로 끝맺었다고 하니 얼마나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 깊었는지 알 수 있다. 이렇게 생활에서뿐만 아니라 휘트먼의 시에서도 그 사랑을 읽을 수 있다. 휘트먼의 '풀잎'이라는 시에는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어머니가 자신에게 영감을 주는 사람이라고 한다. 이런 휘트먼 모자의 사랑은 두 사람만이 아니라 가족 전체에도 보여지는데 휘트먼 가의 가족 모두가 가족애가 넘쳤다. 그만큼 휘트먼에게 어머니의 부재는 큰 허전함과 슬픔을 주었다. 어머니의 죽음이후 휘트먼은 오랫동안 어머니를 잃은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영국의 시인 겸 소설가 필립 라킨은 또다른 어머니의 모습을 보인다. 가족을 이끌어가는 힘을 가진 가모장적인 셰익스피어의 어머니와 무한한 사랑을 주는 휘트먼의 어머니와는 다르다. 라킨의 아버지가 비교적 일찍 돌아가지고 어머니는 라킨에게 의존적이 된다. 라킨은 그런 어머니를 살뜰하게 보살피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함께 살기는 꺼려했다. 어머니의 온갖 집안일과 재정까지 다 관리할 정도였고 매주 편지 왕래도 하며 전화 통화도 했다고 한다. 그만큼 라킨에게 어머니는 힘이 되어주는 존재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독립적인 부분도 있었던 것 같다.  



 





 


'어머니'라는 존재가 누구나에게 큰 존재이고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작가들의 경우는 그들이 남긴 작품속에 어머니의 존재가 엿보이기도 하는데 그 어머니의 모습도 다양한 모습으로 보인다. 보통의 사람들도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자라지만 작가들의 경우도 그러하다. 작가의 작품 속에 또다른 형태의 여성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어머니로도 등장한다. 전엔 알지 못했던 작가의 어머니와 작가의 작품을 연관지어 읽을 수 있어 새로운 경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