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해정해
김영로 지음 / 파랑새미디어 / 2019년 3월
평점 :
<순해정해>는 순서대로 번역한다는 뜻인 '순해'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책이다. 영어독해에 있어 순서대로 번역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냐 싶겠지만 번역하는 순서가 달라지면 문장의 뜻도 달라진다. 그런 것을 콕집어 알려주는 것이 <순해정해>인데 순서대로 번역하는 순해번역에 대해 알아보자. 순해 번역을 하는 이유는 문장의 뜻을 제대로 알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영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영어 문장을 순서대로 번역하지 않는 역순번역은 오역을 발생하게 한다. 오역이 문장의 내용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잘못된 문장인데 이런 오역을 없애기 위한 순해번역은 꼭 필요하다. 역순번역이 영어의 본래 어순을 무시하는 것이라 영어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라고 <순해정해>의 저자도 강조한다.





그런데 순해번역을 잘못한 역순번역은 주위에서도 가끔 볼 수 있다. 영화나 드라마, 번역 책 등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번역본들 중에는 역자의 창작이나 번역처럼 보이는 번역들이 있다고 한다. 그런 오역 때문에 내용이 완전 달라지게 된다. 그래서 오역을 피하기 위해 순해번역이 필요한 것이다.
<순해정해>의 마지막 부분은 부록으로 제2의 동사구에 대해 알 수 있다. '구'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이루어졌는데 동사+전치사+명사의 형태로 된 경우가 많다. 'be동사 + in+명사'의 형태에서 'be+in'은 상태의 존재의 뜻을 나타낸다. 반대의 의미로 'be+out'인 존재하지 않다가 있다. 'hold~in+명사'의 형태에서는 'hold'가 '잡다, 쥐다, 유지하다, 붙잡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hold~in esteem'은 '~을 존중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get + a(n)+ 명사'에서 'get'은 사동의 의미를 가진다. 'get an exchange'는 교환 받다, 'get a refund'는 환불 받다, 'get a raise'는 봉급을 인상 받다 등의 뜻으로 사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많은 구의 예시가 있다. 이런 예시들을 꼭 익혀서 알고 있어야 오역을 줄일 수 있다. 영어와 한국어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번역을 할 때 그 어순이 달라 오역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그 오역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구는 특성상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그 단어가 가진 의미를 그대로 가질 수도 있지만 전혀 다른 의미로 변화되기도 해 꼭 숙지가 필요하다. 그런 구의 특성을 모르고 번역을 하다 오역을 범할 수 있다. <순해정해>에서도 많은 구를 소개라고 있는데 대부분은 그 의미가 단어와 같아 큰 어려움없이 익힐 수 있는 구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