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원에서 CEO가 되었다 - 글로벌기업 CEO가 말하는 승진의 법칙
한인섭 지음 / 이담북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종 CEO의 이력을 보면 평사원에서 회사의 임원까지 된 경우를 보게 된다. 평사원에서 한 회사의 임원이 되는 것은 정말 어렵고 흔한 일은 아니다. 그런데 사원에서 CEO가 되는 것도 쉽게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나는 사원에서 CEO가 되었다>에서는 사원에서 CEO가 되는 과정과 방법을 읽을 수 있다. 사원에서 회사의 임원이나 CEO가 되려면 승진을 하는 방법이 있는데 남다른 승진 방법이 필요하다. 상사가 승진을 해야 자신이 승진할 수 있고 업무 외에 직원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더 중요하고, 사내에서 정치가 필요하면 적극적으로 하기도 해야 한다. 그리고 성과가 좋다고 꼭 승진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니 나름이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회의에서는 주최자인 것처럼 행동하고 필요한 정보가 자기에게 오게끔 만든다. 또 직장에서 사업을 시작할 때와 같은 초심을 잊고 생활할 수도 있어 반성하는 의미로 보고서를 작성한다.



그리고 1.5시간 '마하의 아침' 법칙을 실천하는 것이다. 1.5시간 남들보다 일찍 출근하라는 것인데 15분, 30분 정도씩 점차 출근시간을 앞당기면서 마하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누구보다 부지런하게 움직이면 분명 좋은 결과가 나타난다. 남들과 달라야 평사원에서 임원이 될 수 있지 남들과 같아서는 전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승진이 되면서 점점 리더가 되어가야 한다. 리더로 다른 자질도 많이 필요하지만 화를 리드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직장생활을 돌아보면 늘 '화'와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래서 화를 제대로 다스리는 법을 배워야 한다. 화를 참지 말고, 화를 누르려고 하지 말자, 인위적인 방법으로 화를 통제하지 말자, 숫자 세기나 알파벳 외우기 등의 방법은 버리자, 화의 원인은 생각하지 말자는 것이다. 그리고 어려운 일을 먼저 자청할 용기를 가지는 것이다. 솔선수범의 자세로 일을 처리한다면 뭔가 다른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직장에서 근무하다 보면 업무에 대한 불만, 사고 등의 골칫거리 업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럴 때 힘들 줄 알면서도 뛰어들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더 물러서고 외면할 때 먼저 용기를 내어 시도해 보는 것이다. 시도하지 않으면 어떤 것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나는 사원에서 CEO가 되었다>에서는 CEO는 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책에서 얻은 지식과 지혜를 어떻게 전달하고 적용하는가가 더 중요한 것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