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와 당신들 ㅣ 베어타운 3부작 2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월
평점 :
소설 '오베라는 남자'가 책으로도 성공을 거두고 영화로도 만들어지게 된다. '오베라는 남자'를 소설로, 영화로 만나보기도 했지만 오랫만에 읽는 유럽소설이었다. 그리고 다시 '오베라는 남자'의 작가 프레드릭 배크만의 <우리와 당신들>을 읽게 되었다. 그동안 작가의 다른 소설들도 만날 수 있었지만 여유가 된다면 이 소설 <우리와 당신들>을 읽기전에 <우리와 당신들>의 전편이라고 할 수 있는 '베어타운'을 읽고 읽어도 좋을 듯하다. '베어타운'의 인물들과 스토리가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으니 연작소설처럼 읽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겨울이 유난 히 긴 '베어타운' 마을에서는 하키가 마을을 상징하고, 마을을 먹여 살린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하키가 없이는 마을의 존재도 없을 정도이다. 그런데 그렇게 자랑스러운 하키팀에 문제가 생긴다. 선수 케빈이 베어타운의 하키단 단장 페테르의 딸인 마야를 성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성폭행은 아주 심각한 범죄였지만 마을 사람들은 이상하게 케빈의 편을 들고 케빈의 잘못을 묵과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마을 사람들은 마야의 가족을 배척하기까지 하는데....
<우리와 당신들>의 소설은 작가가 워낙에 유명하기 때문에 첫 번째는 작가의 명성으로 읽게 되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몇 가지 의문점이 생겼었다. 우선 제목인 <우리와 당신들>은 원제는 'Us against you'는 해석하면 '당신(들)에게 반대(대항)하는 우리'라고 할 수 있는데 책을 읽다보면 그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페테르 가족이고 '당신'은 페테르 가족을 제외한 마을 사람들이다. 범죄를 숨기려고 하는 마을 사람들에 대항하는 페테르 가족의 이야기가 <우리와 당신들>인 것이다. 그리고 표지를 보면 하키채를 들고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이 작게 보인다. 키큰 어른과 양갈래 머리를 한 여자 아이로 보이는데 이 두 사람이 페테르와 마야의 어린 시절의 모습으로 보인다. 이 두 부녀가 마을의 희생양이기도 하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는데 마을의 하키팀이 해체되는 위기에서 마야의 불행과 슬픔은 안중에도 없다. 그렇게 한 마을이 고립된 것처럼 범죄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입장이 바뀌어 공동체가 개인의 행복과 인권을 파괴하는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유쾌하진 않았지만 현실에선 더 심한 일도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