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급보다 내 사업 -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봐야 할 책
윤태성 지음 / 해의시간 / 2018년 12월
평점 :
'사업'이라고 하면 거창해 보이지만 매달 월급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자신의 일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은 하지만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월급보다 내 사업>을 읽으면서 창업에 대한 꿈을 꾸어본다. 이처럼 사업에 대해 생각만 하다가 그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직장에서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거나 상사와 사이가 나빠 일하기 어려운 등등의 이유로 사업을 꿈꾸고 있기 때문이다. 이론과 현실이 다르듯이 월급쟁이는 사업의 현실을 모른다. 지금 당장 사업을 준비한다고 해도 당장 무것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막막하고 희망과 기대도 크고 절망과 불안감도 크게 가지고 있다. 본격적으로 내 사업에 대해 계획을 세워보면 그 준비 과정이 먼저일 것이다. 5W2H로 나누어 준비하는데 왜, 무엇을, 누가는 필수항목이라고 할 수 있고 '언제'는 실행의 타이밍을 의미하고 '무엇을'에서 보조 항목들을 가지게 된다. 사업을 하려는 이유는 사업 명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신이 왜 사업을 하려는지 그 이유가 바로 사업의 출발점이자 초심이기에 명분을 찾아야 한다. 사업 아이템으로 무엇을 상품으로 할지 정해야 한다. 다른 기업의 상품을 구매해서 판매할 수도 있고 내가 가진 기술로 독자적인 상품을 개발할 수도 있다. 어디서 사업을 시작할지 고민할 수도 있지만 요즘은 인터넷의 발달로 장소에 관한 개념도 변했고 넓은 가게가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자신이 사업을 하려면 가장 궁금한 것 중에 하나가 '언제' 시작하면 좋을지 시기에 관한 질문이다. 사업은 시작보다 준비가 더 중요하다. 준비 기간도 필요한데 직장을 다니면서 자신의 사업을 준비할 수도 있고 직장을 그만 두고 준비할 수도 있다. 직장을 다니면서도 사업을 준비한다면 6개월 이상 준비하라고 한다. 길어도 사업의 준비기간은 2년이 넘으면 안된다. 가능하다면 직장을 다니며 사업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사업을 시작해야 할 타이밍은 직관보다 합리적인 판단에 따라야 한다.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도 해야 하고 신문을 탐독하거나 종이 신문을 탐독하는 방법을 추천하기도 한다. 이렇게 준비가 끝났다면 자신의 사업을 시작할 타이밍이다. 사업을 시작했다면 사업에 실패할 확율도 높다는 것을 염두해 두고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자신의 사업이 장점도 많겠지만 단점도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