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고 싶지만 죽고 싶지 않아
오키타 밧카 지음, 민경욱 옮김 / 비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고 싶지만 죽고 싶지 않아>라는 제목을 보며 어떤 내용일까 기대하면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읽다보니 제목이 어울리기도 한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했다. <죽고 싶지만 죽고 싶지 않아>의 주인공 '다다 니트로'는 평범해 보이지만 평범하지 않은 아이다. 그렇다보니 평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겐 니트로의 행동이 그저 이해할 수 없고 자꾸 규칙을 어기는 '나쁜' 아이로 보인다. 하지만 니트로에겐 잘 보이지 않는 장애가 있었다. 그것은 '야스퍼스 증후군'과 'LD', 'ADHD'하는 병명으로 쉽게 말해 학습장애와 주의력결핍이라고 할 수 있다. 어렸을 땐 누구보다 성장이 빨라 니트로의 부모는 건강한 아이로 생각했지만 어린이집을 가고 학교를 들어가게 되면서 친구를 잘 사귀지 못하게 되고 학교 공부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 학교에 들어간 니트로는 점점 학교 생활이 어렵게 된다. 글자를 잘 쓸 수도 없어 선생님의 특별 가르침을 받지만 선생님은 니트로가 너무 어렵다. 가만히 의자에 앉아 있을 수도 없고 공부에 집중은 더 어렵다. 특히 숙제는 절대로 해 오지 않는 문제아가 되어가고 있었다. 그러다 여자 선생님이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가고 남자 선생님이 니트로의 담임 선생님이 된다. 하지만 이번 남자 선생님도 니트로의 학습 태도나 행동이 맘에 들지 않고 화만 낸다. 게다가 니트로를 벌까지 세우면서 니트로의 학교 생활은 점점 더 힘들어진다. 그런데 아무도 니트로가 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고 부모님마저도 니트로의 행동을 이상하게 생각했고 학교 생활에 적응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니트로는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서부터 유서를 쓰기 시작했다. 죽고 싶은 마음에 유서를 쓰는 것이 아니라 혹시 내일 죽으면 뭐라도 해두고 싶은 말이 있을까라는 자신에게 던진 물음에서부터 시작이었다. 그렇게 매년 유서가 책상 서랍에 쌓이게 되고 니트로도 초등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이렇게 니트로가 학교를 무사히 졸업할 수 있었던 데는 니트로를 이해 못하는 선생님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가비라는 선생님은 니트로를 평범한 아이로 대했고 니트로 역시 선생님에게 마음을 열고 학교를 졸업할 수 있었다. 니트로와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아이를 실제로 본 적이 있다. 'ADHA'라는 주의력결핍 증상을 보이는 아이였는데 보통의 시선으로 보면 많이 산만한 아이였다. 단체생활과 같은 학교 생활에서는 분명 다른 아이들에게 방해가 될 수 있는 행동을 했다. 그런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많은 선생님들이 고민을 할 것이다. 지금은 '주의력결핍'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많은 아이들이 겪고 있는 병이기에 좀 더 시선이 전과는 달리 나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니트로와 같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집에서 모두의 관심과 보살핌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