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의 운명 평화로 가는 길 - 대담, 미래를 위한 선택
이리나 보코바.조인원 외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8년 9월
평점 :
지구의 환경이 위험에 빠졌다고 한다. 매년 온갖 자연 재해가 일어나고 전엔 보지 못했던 자연 현상들도 일어나 지구 온난화나 이상 기후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지구 온난화가 심각해지기 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더 이상 나빠지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구의 운명 평화로 가는 길>은 지구의 운명에 대한 이야기를 두 사람이 나누는 대담으로 읽을 수 있는데 1부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해, 2부에서는 한반도 평화에 대해, 3부에서는 교육과 문화와 정치, 평화로 가는 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대담자들은 경희대학교 15대 총장과 불가리아 출신 외교관으로 유네스코 사무총장이나 유럽정책포럼 의장도 역임했다.
산업문명으로 지구의 온도는 매년 상승한다고 한다. 올해 여름만 하더라도 한반도의 여름 최고 기온이 40도에 육박했다는 것은 역사상 없던 일일 것이다. 이렇게 지구의 온난화로 전에 없던 폭염에 시달렸고 그 기간도 점점 길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되고 심해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오래전부터 지구는 자연재해와 기후변화를 겪고 있지만 지금 우리가 겪는 기후변화의 위기는 성격이 다르다고 한다. 산업혁명이후 인류는 화석연료를 사용했고 화석연료의 채굴과 소비가 급팽창해 이산화탄소 농도도 엄청난 속도로 늘어났다. 그렇게 지구는 담요를 덮고 있는 것 같이 더워지고 있는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인류의 노력이 절실하다.
최근 남한과 북한의 관계가 급진전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은 한반도에 영원한 평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전세계가 주목하기도 한다. 외국인이 보는 한반도의 현상황은 어떤 느낌인지 대담자를 통해 들을 수 있다. 남과 북은 서로를 좀 더 잘 알아갈 필요가 있다고 한다. 오랫동안 하나의 민족, 하나의 나라였지만 분단이 되어 가족들이 갈라지고 큰 고통을 겪고 있는데 남북한이 서로를 이해하며 신뢰를 구축한다면 우리가 바라는 목표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