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달려라, 아비
김애란 지음 / 창비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올리려고 보니, 많은 이들의 훌륭한 리뷰에 잠시 멈칫한다. 나는 너무 무성의한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나는 작가의 말을 적으며 짧은 글을 남긴다.

  
작가의 말


2003년부터 쓴 단편들을 모았습니다.
작가라서, 무슨 이야기를 썼는지는 알고 있지만
그것이 당신에게 어떤 이야기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기쁘고, 다행입니다.

나는 문학이 나의 신앙이 되길 바라지 않습니다.
소설을 쓰는 데 배움이나 경험이 반드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소설 안의 어떤 정직, 그런 것이 나에게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당신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은 제가 당신에게 매우 딱딱한 얼굴로 보내는 첫 미소입니다.
언제고 곧, 다시 봅시다.


2005년 차고 깊은 가을
김애란


단편소설에서 대해서는 어떻게 얘기해야 될지 모르겠다.
큭큭, 장편소설도 그렇지만..
유쾌하고 섬뜩하고 그러면서도 무덤덤하게 읽었다.

아홉 개의 단편이 실려있는데, 앞의 세 편 밖에 읽지 못했다.
재미없는 건 아닌데... 자꾸 다른 책들에게 밀린다.
미안하다. 도서관에서 빌린 지 두 달이 넘었다.
먼저 돌려주고 다음에 빌려 읽어야겠다.

김애란의 새 소설집이 나왔다고 하던데...
그것도 읽어보고 싶다.

김애란은 1980년생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를 졸업했고, 단편 '노크하지 않는 집'으로 제1회 대산문학문학상 소설부분을 수상하고 같은 해 2003년 계간 <창작과 비평> 봄호에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나는 어느 여성주의 글에서 김애란의 이름을 알았다.
“모든 부드러움에는 자신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잔인함이 있다”(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읽고, 가슴이 먹먹했던 기억이 난다.

천운영 작가보다 재기발랄하다, 라는 느낌이 든다.
그냥 어떤 느낌이다. 뭐라 설명하지는 못하겠다.
누구와 견주는 것 자체가 그저 그렇지만 그냥 천운영 작가도 좋아하는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아, 천운영이라는 이름도 참 오랜만이다. 다시 소설에 집중하려고 하는 걸까? 큭큭, 아무튼 요즘은 소설도 재미있다.

더 많이 열심히 읽어야겠다는 생각뿐이다.

2007.11.06

나는 어머니가 좋았지만 그것을 무어라 표현해야 할지 몰라 자꾸만 인상을 썼다. 나는 내가 얼굴 주름을 구길수록 어머니가 자주 웃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때 나는, 사랑이란 어쩌면 함께 웃는 것이 아니라 한쪽이 우스워지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달려라, 아비에서 9쪽)


어머니가 내게 물려준 큰 유산은 자신을 연민하지 않는 법이었다. 어머니는 내게 미안해하지도, 나를 가여워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나는 어머니가 고마웠다. 나는 알고 있었다. 내게 괜찮느냐고 물어보는 사람이 정말로 물어오는 것은 자신의 안부라는 것을. 어머니와 나는 구원도 이해도 이아니 입석표처럼 당당한 관계였다.(달려라, 아비에서 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작품에서 생명수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리고 바리는 그것을 찾기라도 했을까요? 이는 독자들께 던지는 질문이 될 것입니다."(황석영)




책을 덮기 바로 전, 황석영씨의 말을 들으며
그렇구나, 그게 맞았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얼굴을 문댄다.

나는 생명수가 ‘눈물’이라고 생각한다.
가엾음, 용서 그리고 눈물......

순이가 죽고 괴로워하는 어미의 마음을 나는 온 가슴으로 아파하고 있다.
샹언니를 용서하려는, 먼저 찾아가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는 바리를 보면서
나는 울었다. 정말 용서할 수 있을까. 내 형제, 내 자식을 죽인 그들을......
아직도 잘 모르겠다.

영화 ‘밀양’이 떠오르고, 피랍인들을 떠올렸다. 그래도 잘 모르겠다.

누구를 미워해야 하는지. 무엇을 원망해야 하는지......

바리가 그 답을 내게 들려주면 좋겠다.


“희망을 버리면 살아 있어도 죽은 거나 다름없지.

네가 바라는 생명수가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만

사람은 스스로를 구원하기 위해서는 남을 위해 눈물을 흘려야 한다.

어떤 지독한 일을 겪을지라도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을 버려서는 안 된다.”(286쪽)

 


바리가 부모를 잃고 세상에 부딪히며 살아가는 모습이 나는 눈물겨웠고,

꿋꿋한 바리를 보니 부끄러웠다. 바리에게서 삶의 용기를 배운다.

용기내야지. 용기내야 한다. 부딪혀야 한다.

무작정 피한다고 해서 되는 건 아니니까.

결재 받을 일이 있는데, 무섭고 겁나서 주저하며 눈치를 보고 있는 중이다.

하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