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 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평점 :
이렇게 살 수도 있구나. 자신이 살고자 하는 삶의 형태를 찾아내고, 그렇게 살 수 있는 조건을 일구어내서, 이윽고 바라던 대로 살게 되었다. 간단한 말이지만, 현실적으로 이루기는 지극히 힘든 일이다. 아름다운 도전이었고, 결실이 알차기에 더욱 부럽다. 한국에 이런 곳이 있다면 꼭 찾아가봤을 텐데 이웃나라라... 기회가 된다면 이곳의 빵을 꼭 먹어보고 싶다.
제목을 보고 자본론 쪽에 무게를 두었는데, 실제로는 쓴 사람의 에세이 '시골 빵집 이야기' 쪽이 중심으로 자본론에 대해서 깊이있게 나오지는 않는 것 같다. 다만 역시, 학문은 현실에 기초한다는 생각이 문득. 문외한으로서는 마음에 남았던 구절 몇 가지.
p.44 상품이란 '사용가치'가 있을 것, '노동'에 의해 만들어질 것, '교환' 될 것.
p.68 직원들이 하나, 둘 그만두는 열악한 노동환경과 그 속에서 일하는 기술자들의 불안한 기술 수준은 노동이 단순해졌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결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문제다.
p.171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임금을 현금으로 받으면 공장주에 의한 노동자 착취는 끝난다. 하지만 그 순간 그들에게는 또 다른 부르주아 계급이 달려든다. 다름 아닌 집주인, 소매상인, 전당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