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천무후
쑤퉁 지음, 김재영 옮김 / 비채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아무도 황후의 귓가에 아련히 맴도는 그 데구루루 구르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 그것은 자단나무 공이 시간의 표면 위를 굴러가는 소리였다. - p.114

말을 길들일 방도에 대해 묻자, 한 여자는 이렇게 답했다. '채찍으로 말 등을 후려치고, 다음은 철퇴를, 그래도 다스리지 못한다면 비수로 목숨을 거두겠다.' 그녀가 바로 무미랑. 후궁에 들어가 황후가 되어 한 나라를 멸망시키고 한 나라를 세워 스스로 여황이 된 무측천, 무조다.

쑤퉁의 소설은 무조가 열네 살에 입궁해 일흔여덟 살 세상을 떠날 때까지의 인생을 챕터를 바꿔가며 그녀와 그녀의 아들들 시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액정에서 쓸쓸히 자단나무 공을 굴리던 소녀가 절로 쫓겨났다가 모자를 쓰고 후궁으로 돌아와 황후가 되어 당의 기를 내리고 주의 기를 게양하며 아들에 의해 자신의 제국이 멸망하고 쓸쓸히 눈을 감는 순간까지.

대부분 측천무후를 중심으로 씌여있지만, 사이사이에 씌여진 독백 같은 태자 홍, 태자 현, 예종 시점의 이야기들이 있다. 건강을 되찾은 것을 오히려 불안으로 여기다 독살당한 태자 홍, 무후의 언니 한국부인의 소생으로 늘 무후를 경계하다 결국 폐위되어 자결한 태자 현, '형의 어깨를 밟고 제왕의 보좌에 올라' 평생 어머니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며 간신히 목숨을 부지한 예종. 아둔하다 묘사되었으며, 두 달 만에 어머니에 의해 폐위당하고 후에 주위의 추대에 의해 무후를 몰아내고 복위하는 중종의 챕터는 없지만, 작중 묘사를 보면 그 어머니를 두려워한다는 것은 명확하다. 측천무후가 주변에 대단히 공포스럽게 비쳤다는 것을 아들들의 눈으로 더욱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오랫동안 그녀를 가까이 모신 시녀 상관완아조차 여황이 총애하는 미소년과 다소 오래 눈이 마주쳤다는 이유로 비수를 휘둘러지고 묵형을 당했다는 에피소드도 그 대표격이다.

그래서인지 이 소설만 본다면, 뒤표지에서 '역사학자들에 의해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황제로 손꼽히는 측천무후'라는 말은 의아하다. 쑤퉁의 소설에서 묘사된 측천무후라는 개인은 분명 재능은 있었을지 모르나 위대한 황제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싸움에서 승리하여 한때 새 나라를 세우고 여자로서는 황후를 넘어 여황에까지 올랐으니 희대의 인물로 재능이 있긴 하겠지만, 아들들을 희생한 것이나(정치적 수완이 있다고 할지 육친의 정이 없어 비정하다 할지) 당시 밀고가 성행하며 신하들을 숙청하며 혹리들을 등용하고 육식을 금한다는 칙령을 내리는 등, 위대한 황제였냐고 하면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소설적 전개를 위해 생략했는지도 모르겠지만, 결과적으로 제대로 된 후계자를 세우지 못하고 제국조차 한때의 찬탈로 끝났다는 걸 생각하면 어쨌거나 대단하지만 한계가 있는 인물이었다고 생각한다(그 한계까지나마 이룬 게 굉장하긴 하다).

이 소설에서 측천무후는 한때 두근거리며 눈물짓는 소녀였으나 차가운 궁에서의 한과 권력에 대한 갈망으로 딸의 목을 스스로 조를 정도로 비정해지는 변화를 보인다. 목적을 위해서라면 말 그대로 무엇이든 하는 여황, 절대 군주로서 "침대에 누워서 반란을 일으킨 자들의 얼굴을 훑을 때 그들이 뼛속을 파고드는 차디찬 공포를 느끼게 할 만큼"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식사를 마치고 차를 마시던 나는 처절한 비명을 내질렀고, 그것이 바로 독을 넣은 자가 기다리던 소리였다.
나는 그 아름답고도 스산했던 합벽궁을 걸어 나가지 못했다.
나는 부황과 내 동생 현과 철, 욱륜 그리고 여동생 태평공주에게 말해주고 싶다. 죽음이 닥쳐오던 순간, 내 얼굴을 그토록 절망과 고통으로 일그러뜨린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말이다. 나는 어머니의 손을 보았다. 그 손은 천후의 면류관에서 독극물의 흔적을 닦아내고 있었다. 그들에게 내가 어머니의 그 손을 보았다고 전해달라.
부디 그들에게 어느 운 나쁜 망령의 말을 믿고 천후를, 어머니를, 독으로 얼룩진 그녀의 손길을 조심하라고 전해달라. - p.83 <태자 홍>

 

신룡 원년 동짓달 스무엿샛날 밤이었다. 비가 그치고, 여황이 일흔여덟 살을 일기로 상양궁에서 급작스레 붕어했다. 당황한 궁인들은 여황의 입속에 자단나무 공 하나가 물려져 있는 걸 발견했다. 그들은 그것을 꺼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몰라, 여황의 마지막 행위가 무슨 뜻인지를 놓고 용상 앞에서 이 궁리 저 궁리를 했다. 자단나무 공이 도대체 무슨 쓸모가 있기에 망자의 입에 물려 있단 말인가?
사후에도 아름다운 자태를 지키기 위함인가, 아니면 천상에서마저 침묵을 지키기 위함인가? 그 마지막 수수께끼는 누구도 쉽사리 풀어내지 못했다. 마치 누구도 그녀의 일생이라는 수수께끼를 풀지 못했떤 것처럼. - p.327 <여황의 최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