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암성 까치글방 아르센 뤼팽 전집 3
모리스 르블랑 지음, 성귀수 옮김 / 까치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기암성>. 뤼팽 시리즈 가운데서 순위를 다툴 정도로 좋아하고, 그 정도로 불만도 있는 소설이다.

이야기는 앙브뤼메지 성에서 시작된다. 어두운 밤, 어디선가 들려오는 수상한 소리, 총을 들고 용감하게 나선 아가씨 레이몽드, 쓰러진 성주 제스브르 백작, 살해당한 백작의 비서, 무언가를 짊어지고 간 범인의 그림자, 그러나 도둑맞은 물건은 없다……이 해괴한 사건에서 그의 호적수로 나타난 것은 이지도르 보트를레. 기자로 변장해 사건을 살피고 있던 고등학생 소년이다.

기암성은 거의 뤼팽과 이지도르의 대결이다. 뤼팽의 공언된 라이벌 가니마르 경감, 영국의 명탐정 홈스를 제쳐두고 그는 눈부신 활약을 한다. 뤼팽의 부하가 흘린 암호문을 풀어내고, 뤼팽에게 한 발 앞서 납치당한 아버지와 레이몽드를 구출하는 등... 그러나 인질들을 붙잡아둔 곳이라고만 여겼던 '에기유 크뢰즈'에 대한 암호문이 사실은 프랑스 왕가와 관련된 어마어마한 재화가 잠들어 있는 곳을 표시하는 암호이며, 뤼팽의 행동 하나하나가 겉으로 보이는 것만이 아닌 이중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이야기는 반전한다. 역사적 허구를 얽어내 촘촘하게 짠 기암성의 수수께끼. 일찍이 뤼팽이 걸었던 길을 이지도르가 따라 걸으며 푸는 과정을 읽노라면 그야말로 희열을 느끼게 한다. 또한 아름다운 히로인 레이몽드를 중심으로 한 로맨스 역시 이야기의 흥미를 더한다.

그리고 이 소설 최악의 문제, 홈스라는 캐릭터. 홈스가 등장하지만 않았다면 아마도 기암성은 내게 있어 뤼팽 시리즈 베스트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홈스는 흔히 말하는 셜록 홈즈, 모리스 르블랑의 캐릭터가 아닌, 아서 코난 도일의 캐릭터다. 조롱하기 위해 강제로 끌려나온 것 같은 홈스는 시종일관 악역인 듯 행동하더니 결말에서는 기암성 최대의 악역을 맡으며 바닥까지 떨어진다. 시리즈 전개를 생각할 때 필요없는 역할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걸 꼭 홈스에게 맡길 이유가 있었을까? 어릴 때 축약본으로 처음 읽었을 때는 이 홈스가 참 미웠는데, 이 완역판을 접하고 이 홈스가 그 홈즈를 끌어온 것까지 알게 된 지금은 작가한테 어이가 없어졌다.

악의가 느껴지는 오마쥬, 홈스의 존재만 제외한다면(속 편하게 홈즈와 홈스를 분리하고 홈스를 마음껏 미워하기로 할까;) 정석적 도난 사건으로부터 괴도의 행방을 수색하며, 탐정과 괴도 간에서 이루어지는 줄다리기, 역사적 과거의 수수께끼, 잊혀진 보물, 로맨스, 추리 앞에 나타나는 역경의 벽까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좋은 작품이다. 실제로 뤼팽 시리즈를 한 권 추천하라고 하면 가장 먼저 읽어보라고 권하는 것도 기암성이고. 나무랄 데 없는 수작에 어울리는 깔끔한 번역에 별 다섯 개를 주고 싶지만, 역시 홈스의 존재 때문에(별개인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면 영;) 별 네 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