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리듬 - 질병과 피로의 근원, 내 몸속 미세 시차를 바로잡는
아넬루스 오퍼르하위젠.마레이케 호르데인 지음, 정신재 옮김 / 푸른숲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한 동안 아침형 인간의 환상에 젖어 하루를 계획하면서 살았던 적이 있다. 아침형 인간은 반드시 성공하고 저녁형 인간은 게을러서 실패한다는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침형인지 저녁형인지의 구분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안다. 사람마다 생체시계가 다르고 일의 능률이 오르는 시간대가 다르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녁형 인간 중에서도 성공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도 알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 몸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생체리듬에 대해 다룬다. 우리 몸에는 개인마다 다른 독특한 생체시계가 있다. 우리가 아는 시계는 매일 한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한 구간에 따라 작동한다. 하지만 우리 몸에 있는 생체시계는 정확하지도 않고, 매일 똑같지 않다. 매일 지정된 시간도 없거니와 고정된 패턴도 없다. 한 때 내 몸에 존재하는 생체시계의 패턴을 찾아보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우리가 사용하는 시계는 알람 설정을 통해 정확한 시간에 무엇을 해야할지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생체시계가 보내는 알람을 자주 듣지 못한다. 우리 몸 속의 생체시계의 알람과 외부 세계의 리듬 사이에 부조화가 발생하면 우리 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업무 성과나 건강에 부정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종종 시차가 큰 나라를 여행할 때는 유독 피곤함을 느낄 때가 있다. 원래의 생체리듬상 잠을 자야하는 시간에 깨어있을 수도 있고, 깨어 있어야 하는 시간에 잠을 잘 수도 있다. 평소에는 잘 느낄 수 없었던 생체시계의 존재는 이렇게 자각할 수 있다. 이런 불균형 상태가 장기적으로 이어지면 큰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새삼스럽지 않다.


이 책은 생체시계의 작동원리, 시계를 맞추는 방법, 완벽한 하루에 맞는 생체리듬, 생체시계를 교란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다룬다.




인간의 생체리듬에서 빛이 이토록 중요한지 몰랐다. 20대에 취업 재수를 하면서 고시원 생활을 한 적이 있다. 고시원 중에서 창문이 없는 방을 쓰던 나는 어떨 때는 시간 감각을 잃어버리기도 했다. 방 안으로 24시간 빛이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방을 나가기 전에는 빛을 받을 수 없었다. 그렇게 불을 끄고 있으면 시계를 보기 전까지 계속 밤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필자는 이런 상태를 '자유로운 상태'로 정의한다. 이런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장 강력한 자극이 되어주는 것은 바로 자연 상태의 빛에 노출되는 것이다. 주말에 늦게 까지 잠을 자고 싶어도 잠을 잘 수 없는 이유가 창을 뚫고 들어오는 빛 때문이다. 실제로 내가 겪어본 일이라 아침이 왔다는 가장 강력한 신호기 빛이라는 걸 안다.


낮 동안에 빛에 노출되는 것은 생체시계와 관련이 없지만 아침과 저녁은 다르다. 아침에는 빛을 보면 시간이 늦었음을 생체시계가 자각하여 자체 시간을 빠르게 돌려 동기화를 하고, 낮에 빛을 보면 시간이 너무 이르다는 신호를 주어 시간을 느리게 동기화를 한다. 이런 방식으로 우리의 생체시계는 자연 상태의 빛과 우리의 생체시계를 맞추고 있다.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 몸의 상태를 결정하는 생체시계가 자연 상태의 빛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거에 고시원 생활을 하거나 주말에 잠을 늦게까지 잘 수 없었던 이유가 바로 그 빛 때문이라는 사실이 신기할 따름이다. 사람이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서는 바로 이 생체리듬에 따라 낮에는 빛을 많이 보고, 밤에는 빛을 차단해주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