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십의 뇌과학 - 와튼스쿨 뇌과학 교수의 가장 과학적인 리더십 레슨 ㅣ 쓸모 많은 뇌과학 13
마이클 L. 플랫 지음, 김현정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10월
평점 :
* 컬처블룸을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리더십은 역사적으로 많은 학자들이 깊이 있게 연구한 분야이다. 카리스마 리더십부터 감성 리더십, 코칭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등 연구 성과에 따라 알려진 리더십의 종류도 많다. 리더십에 대해 변하지 않는 것은 선천적인 것보다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얼마든지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리더십을 과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한다. 리더십은 사회적 뇌에 기반한 인간 관계의 지속적인 소통 과정이다. 타고난 카리스마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 따른 뇌과학의 산물이라 본다. 뛰어난 리더가 자신의 생각과 의지대로 팀을 이끌어가는 시대는 지났다. 같이 일하는 동료를 이해하고, 함께 성장할 때 리더십의 진정한 힘이 발휘된다.
기존의 리더십이 강조하는 것과는 다소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 팀원들과의 기본적인 소통 방식의 변화, 팀원들의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뇌과학의 원리, 리더가 취해야 하는 행동의 의미를 뇌과학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신뢰를 구축하고, 창의성과 혁신을 촉발하고, 의사결정을 잘 내리고, 성과를 향상시키는 뇌과학적 실천 지침을 제시한다.
조직의 성과를 위해 리더가 고민하는 것은 크게 바뀐 것이 없다. 그 동안 개인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리더십이 정의되었다면, 이 책은 뇌과학적 측면에서 리더십에 접근한다. 즉 리더십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뇌과학적 측면에서 후천적으로 충분히 개발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본다.
이는 거대한 허리케인 이후 서로를 지지한 붉은털원숭이, 기적을 일으킨 하키팀, 고객충성도를 실험한 애플과 삼성의 사례까지 개인의 경험담을 넘어 수많은 데이터와 실험으로 검증한다. 타고난 카리스마같은 선천적인 특성보다는 뇌과학을 통해 누구든지 훌륭한 리더로서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리더의 자질로서 중요한 것들이 많지만 나는 의사결정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리더는 한 조직을 이끌고 한 방향으로 끌어가야 한다. 일반적인 조직일 수도 있고, 회사같은 영리 조직일 수도 있다. 조직이 추구하는 바에 따라 그 방향도 달라질테지만 그 과정에서 수많은 의사결정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결정은 조직의 흥망성쇠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기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 비대칭 우위로 알려진 미끼 효과도 있다. 특히 정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을 뒤흔드는 역할을 많이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택지에 선호하지 않는 선택지를 추가하면 원하는 선택지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너무 많은 선택지를 추가하면 오히려 의사결정에 방해가 될수도 있다.
리더십에 뇌과학을 결합해서 인간의 심리적 영향을 분석한다. 인간의 두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개인의 삶과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의 새로운 해석을 볼 수 있다. 신경과학과 비즈니스의 조화가 향후 리더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내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