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큰 뜻을 품은 자여, 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가 - 정약용편 ㅣ 세계철학전집 3
정약용 지음, 이근오 엮음 / 모티브 / 2025년 6월
평점 :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시대를 먼저 살아간 사람들은 후배들에게 지혜를 전해야 한다. 하지만 젊은 세대들은 선배 세대들의 조언과 가르침을 단순히 잔소리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요즘 세대들의 말로 치면 '꼰대질'이라는 말로 그 가치를 깎아내린다. 과연 우리는 과거의 선인들로부터 배울 것들이 없을까? 그들의 말은 정말 꼰대질에 불과할까?
우리나라 선인들 중에 훌륭한 사람들이 많겠지만 학문적 가치와 현재에도 통용되는 지혜를 전하는 가장 뛰어난 사람 중에 한 명이 바로 다산 정약용 선생이다. 그는 인생의 전성기를 구가하는 40대에 자신의 잘못도 없이 18년의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 종교와 정치 논리로 억울한 유배를 당한 그로서는 세상을 탓하며 살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18년 동안 집필에 매진하여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탁월한 걸작을 남겼다.
정약용은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필요한 것들을 강조했다. 특히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태도, 말보다 행동을 중시하는 삶의 자세 등 현대 자기계발서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중요하게 여겼다. 정약용의 말과 글에는 시대를 초월하여 현대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조언들이 가득하다. 그가 바라보는 인생의 방향을 따라가다보면 더 나은 사람으로 태어날 것이라 확신한다.
모티브에서 기획한 <세계철학전집>의 세 번째 책으로 우리나라의 다산 정약용을 다룬다. 자신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 다른 사람과의 대인관계, 말보다 행동 그리고 언행일치, 큰 뜻을 이루기 위한 마음가짐, 인생 전체를 관통하는 인생 철학 등 총 5개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언행에 책임을 질 줄 안다. 따라서 책임질 수 없다면 시작조차 하지 않는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책임을 회피한다. 남 탓, 환경 탓 등으로 자신의 잘못을 가리려고 한다. 다산은 결과를 자신이 아닌 남에게서 찾는 '탓'이 성장을 가로막는다고 말한다. 누군가의 제안을 받았거나 좋은 기회가 생겼을 때 최종적으로 선택을 하는 사람은 바로 나 자신이다. 남 탓을 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나도 과거에는 '탓'을 많이 했다. 하지만 스스로 위안이 될지는 몰라도 달라지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그래서 그 이후로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을 골라 스스로 결단을 내렸고, 바꿀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불평하지 않았다. 바꿀 수 없다면 내가 바뀌거나 피하면 된다. 내 주위에 내가 하는 일마다 방해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자리를 피하거나 내가 직장을 그만두면 되는 것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떤 조건과 환경에 있느냐가 아니라 어떤 마음가짐으로 끝까지 해내느냐가 아닐까? 누군가는 부족한 환경에서도 성공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조건만 탓하면서 성장을 하지 못한다. 어떤 시련이 나를 괴롭히더라도 내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성공과 성장의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내 생각이 전적으로 맞다는 생각을 버리고 때로는 스스로의 생각을 돌아보는 연습을 해야 할 것이다.
최근 일련의 국가 정치 사건들을 보면서 이런 나의 생각은 더 강해졌다. 특히 정치인들의 무책임한 발언들과 자기들만 챙기는 이기적인 태도를 보면서 자신을 갈고 닦는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생을 대하는 마인드가 왜 필요한지 절실하게 깨닫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