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시의 미래 - 인문학자가 직접 탐사한 대한민국 임장 보고서
김시덕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시덕 박사가 쓴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는 부동산을 투자의 대상으로만 바라봤던 내가 땅, 집, 도시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로는 계기가 되었다. 도시와 도시를 이루고 있는 땅과 집에 깃들여진 이야기를 통해 살아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많은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그래서 김시덕 박사가 쓴 또 다른 도시 이야기인 <한국 도시의 미래>를 망설임없이 바로 선택했다. 직접 걷고 현지인들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받은 도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지방을 다니면서 필자가 느끼는 방식은 우리가 매스컴이나 정치에서 접하는 정보와 전혀 다르다. 정치인들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과 현지인들의 시선은 절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을 도시의 최대 화두라 말한다. 하지만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가 생겼다 사라지는 것은 역사적으로 반복된 현상이라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 실제로 인구 감소는 정치인과 행정가들에게는 치명적인 문제가 되지만 현지인들에게는 오히려 쾌적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역시 가짜뉴스에 우리가 속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필자는 한국의 도시들이 3개의 메가시티와 몇몇 소권역으로 집중될 것이라 말한다. 서울의 가치는 절대 떨어지지 않고 그 중에서 강남의 위치는 확고하며 확장 강남으로서 경부선, SRT, KTX 노선을 따라 경기도를 넘어 충청도 이남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강남의 삶의 방식이 편리한 교통을 따라 남쪽으로까지 번진다는 말이다.




나는 필자가 주장하는 한국의 3대 메가시티와 몇 개의 소권역에 흥미가 당긴다. 서울시와 강원도 및 충청남도 일부를 포괄하는 대서울권,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아우르는 동남권, 대한민국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중부권이 3대 메가시티다. 강남을 중심으로 하는 서울권이 교통의 발전으로 중부권까지 확장되는 모습이다. 그리고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동남권이 지속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논의는 갑오개혁 때부터 있어왔지만 번번히 실패하고, 지금은 일제시대 때 강제로 만든 체제를 이어오고 있다. 근래에까지 행정구역 개편 논의는 활발하지만 다양한 이해관계로 쉽지 않은 모습이다. 필자가 행정구역 개편을 논하는 것은 아니지만 행정구역보다 더 중요한 것을 강조한다.


실제로 전라남도의 순천, 광양과 경상남도의 하동 지역은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생활구역이 겹친다. 충청도의 조치원, 청주, 세종의 경우도 행정구역보다 생활구역의 의미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임의적으로 나누어놓은 행정구역이 과연 의미가 있는 경계인지 의문이 생긴다. 지방 소멸과 인구 감소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생활 반경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 외에도 동해안 소권, 동부 내륙 소권, 전부 서부 소권, 전남 서부 소권, 대구/구미/김천 소권, 제주 소권 등을 통해 지방 소멸을 걱정하는 시대에 새로운 정책의 가능성을 찾아보는 어떨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 컬처블룸을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