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에 한 걸음씩 행복해지기 - 불안을 가라앉히고 행복에 다가서는 마음의 힘
티머시 골웨이.에드 한젤릭.존 호턴 지음, 송보라 옮김 / 나비스쿨 / 2023년 5월
평점 :

사람이라면 누구나 불안함을 안고 사는 것 같다. 나이, 성별, 재산의 정도 등에 상관없이 불안함을 느끼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불안함을 어떻게 잘 다스리고, 삶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극복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육체가 정신을 좌우하기도 하지만 정신이 신체를 좌우하기도 한다. 저자는 의사로서 불안이 환자들의 몸과 마음을 얼마나 황폐하게 만드는지 오랫동안 지켜봐왔다. 이들은 두통, 어깨 통증, 어지럼증, 배의 통증 등을 호소한다. 심장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조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도 한다.
인간에게 불안은 위급할 때 알리는 생물학적 장치일 뿐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불안은 우리의 몸과 마음에 해롭다. 이 책은 2명의 의사와 티머시 골웨이가 함께 쓴 책이다. 2명의 의사는 불안증을 가진 환자에게 의학적 해결책을 제시했다. 하지만 한계가 있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래서 티머시 골웨이와 함께 마음의 힘을 빌리기로 한다.
즉 2명의 의사가 제안하는 현대 의학적 지식과 사례와 함께 마음의 힘을 다루는 법을 결합하여 인생을 뒤흔드는 불안함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티머시 골웨이는 유명한 골프선수와의 상담을 예시로 불안 극복의 단서를 제공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많은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나는 변하지 않는다. 즉 역할과 나는 서로 다르다. 각각의 역할과 내가 서로 동일하다고 믿는 것에서 불안이 시작된다고 말한다.
역할은 사람들이 나에게 기대하는 나이고, 나는 있는 그대로의 나이다. 즉 다른 사람의 시선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는 것이 불안을 이겨내는 시작이다.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불안의 실체를 알아야 한다. 내 안에 존재하는 두 개의 나를 파악해야 한다. 내 안에는 나를 '판단하는 나'가 있고, '지켜보는 나'가 있다. 우리를 끊임없이 괴롭히는 불안에서 벗어나 행복에 다가서는 비결은 '판단하는 나'에서 벗어나 '지켜보는 나'를 발견하는 것이다.
판단하는 나의 계속되는 방해를 무릅쓰고 지켜보는 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마음의 힘을 발견한다. 계속 남의 시선을 의식하고, 남의 관점에서 나를 판단하는 것을 내려놓고 내 안에 존재하는 훌륭한 마음의 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바로 지켜보는 나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나에게도 2년 정도 불안한 나날의 연속이었다. 재정적인 문제가 시급했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했던 것 같다. 조용히 잘 하고 있는 나를 지켜보면서 마음의 힘을 회복하는 연습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누구나 힘든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이미 벌어진 상황을 없앨 수는 없다. 똑같은 상황에 대해 사람들의 대처가 다른 이유는 관점의 차이다. 같은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대처 방법도 달라질 것이다.
관점을 긍정적으로 전환해주는 것이 바로 지켜보는 나일 것이다.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마음의 힘이 있다. 판단하고 남을 의식하는 나를 벗어나 내 마음의 힘을 믿어보도록 하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