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별 편지 - 그저 너라서 좋았다
정탁 지음 / RISE(떠오름) / 2023년 5월
평점 :

저자의 사랑과 만남, 이별의 이야기가 가슴 시리다. 남자가 그녀를 만나고 사랑하고 이별하고 다시 만나고 다시 사랑하는 이야기가 왜 이렇게 나와 닮아 있는지 슬프다. 에세이를 잘 읽지는 않지만 왜인지 <이별 편지>는 안 읽으면 안될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너무나도 사랑했던 그녀를 잊지 못해서, 그런 한 사람을 잊기 위해서 책을 쓴다는 말이 왜 이렇게 내 마음을 울리는지 모르겠다. 헤어짐은 또 다른 만남의 시작이라지 않는가? 하지만 헤어짐을 제대로 맺지 못하면 새로운 만남은 시작되지 못할지도 모른다.
새로운 만남을 위해 기존의 헤어짐을 제대로 마무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사람을 미워할 필요도 원망할 필요도 없다. 한 때 사랑했으면 그것으로 족하다. 하지만 내 몸이 기억하는, 내 삶의 여기저기에 흔적을 남긴 한 사람을 잊는 일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그래서인지 많은 감정들을 쏟아내기 위해 글을 쓰는 저자의 선택이 탁월해 보인다.
사랑의 총량은 같다고 한다. 한 사람에게 온전히 쏟아낼지, 아니면 여러 사람에게 나눠서 쏟을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나는 어떤 유형일까? 지금까지는 한 사람에게 집중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앞으로의 인생은 왜인지 몰라도 몇 사람에게 사람을 나눠서 쏟을 것 같다.
'너 없이 너를 사랑하는 일'이라는 말이 너무나도 깊이 와 닿는다. 사랑을 하고 같이 살다보면 익숙해진다. 익숙함은 사랑의 빛을 잃게 한다. 그리고 점차 이별의 방향으로 둘을 몰아 세운다. 그러다 어떤 계기로 이별을 하게 되면 그 때야 느낀다. 서로의 소중한 빈자리를...
이별은 가슴 아프다. 사랑을 하지 않았던 때로 절대 되돌릴 수 없다. 이별은 사랑을 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못한 관계를 만든다. 이별이 힘든 것은 오래도록 삶에 남아 기억을 괴롭히기 때문이다. 이별의 핵심은 외로움이고, 흔적을 지우는 일이다. 이별은 흔적을 지우는 일이라는 말에 너무나 공감한다.
이별을 하고 다른 그녀를 찾아나서기도 하지만 나를 찾는 것이 먼저다. 서툴었던 첫 사랑을 되돌아보고 나를 제대로 볼 수 있어야 다른 만남을 준비할 수 있을 듯 하다. 나를 있는 그대로 마주할 수 있을 때 새로운 시작을 할 준비가 되었다 생각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새로운 만남과 사랑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 번 사랑이 영원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 종점이 있다. 사랑과 이별을 아프게 감내하고 나를 발견하고 나면, 다음에 오는 사랑은 반드시 서로에게 나들이 가는 일이 될 것이다.
'이젠 당신의 소식조차 듣지 못하는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었지만 내 삶에 잠시나마 머물러줘서 고마웠습니다.' 이 말이 너무나 와 닿는다. 이별을 한 번이라도 해본 남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꺼리가 많은 에세이다.
이제 남자도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이런 에세이가 많이 나왔음 한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