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복탄력성 (15만부 기념 리커버)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3월
평점 :

어려운 일을 똑같이 겪어도 어떤 사람은 그것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인생의 나락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왜 같은 상황으로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나는 것일까? <회복탄력성>은 바로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회복탄력성은 원래 제자리로 돌아오는 힘을 말하는데, 심리학에서는 주로 시련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한다고 한다.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이 현실을 비관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더 나은 미래는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상황을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은 반드시 달라진다.
2011년에 출간된 초판본 이후 15만부를 달성한 기념으로 재출간된 기념판이다. 이 책으로 인해 '회복탄력성'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책으로 기억한다. 이 책 출간 이후 많은 강의, 많은 책, 논문 등에서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를 여러 번 접하게 되었을 정도로 이제는 일반어가 되었다.
저자는 회복탄력성의 핵심은 '소통능력'에 있다고 말한다. 다양한 개념과 이론이 있지만 결국 모든 것은 인간관계능력에 기초한 소통능력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소통능력의 마음 근력의 기초를 이룬다. 소통능력을 향상시켜야 강한 회복탄력성을 가질 수 있고, 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 정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강력한 회복탄력성은 진정한 행복감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외부의 요인과는 무관하다. 스스로의 결단을 통해 긍정적인 내면 소통을 하고, 이를 반영한 대인관계로부터 진정한 행복은 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을 약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부정적 정서는 두려움이다.
선천적 기형으로 태어난 에이미 멀린스는 대단한 사람이다. 동기부여에 관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나온다고 해도 좋을만큼 그녀의 사례는 유명하다. 멀린스는 스스로 장애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보여준 사람이다. 장애가 없는 사람들이 '때문에'라는 변명으로 주저할 때, 그녀는 '불구하고'가 아니라 '덕분에' 성공했다고 말한다. 인간으로서 얼마나 멋진 마인드인가?
저자는 회복탄력성의 요소로 2가지를 말한다. 첫째는 자기조절능력이고, 둘째는 대인관계능력이다. 자기조절능력은 자신을 이해하는 힘으로 나를 이해해야 비로소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통해 자기이해지능의 중요함을 설파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에 기초한 대인관계능력이다. 저자의 연구에 의하면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사회성이 뛰어나다고 한다. 하워드 가드너가 말하는 대인지능이 높은 사람은 강한 리더십을 발휘한다고 한다. 강한 리더십은 곧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결국 스스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본인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더불어 확장된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강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회복탄력성도 커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려운 상황을 나에게 긍정적인 상황으로 변화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회복탄력성임에는 틀림 없는 사실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