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는다는 착각 - 하버드 심리학 거장이 전하는 건강하고 지혜롭게 사는 법
엘렌 랭어 지음, 변용란 옮김 / 유노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원제목은 반시계방향을 뜻하는 'Counterclock Wise'이다. 기존의 통념과는 반대의 생각을 담았다는 뜻이 아닐까? 너무나 우연히 접한 책이지만 정말 신선한 충격을 받는다. 저자는 서문에 이 책의 위험성에 대해 밝힌다



이 책은 기존 의학에 대한 반론으로 읽힐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 점을 밝혀 두는 것이 중요하겠다. 만일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증상이 찾아온다면 나도 마땅히 의사를 찾겠지만, 다만 그 때는 전승 비법으로는 달리 손쓸 방법이 없어서일 거라고.



읽는 사람에 따라 기존 의학에 대한 반대 의견으로도 볼 수 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인간이 추구해야 하는 기본을 찾도록 도와준다고 보는 편이 나을 듯 하다.



여성 최초 하버드대 심리학과 종신 교수직에 임용된 저자는 1979년에 '시계 거꾸로 돌리기 연구'로 노화와 인간의 한계, 고정관념에 대해 충격적인 반전을 제시했다. 이 연구를 토대로 노화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태도와 가치관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많은 자기계발서에서 잠재의식의 힘을 강조한다. 저자가 주장하는 마음의 힘도 잠재의식으로 볼 수도 있겠다. 저자가 전하는 이 책의 핵심은 이렇다. 몸과 마음은 둘로 나눌 수 없는 하나이기 때문에 질병이나 인체의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면 더 행복하고 건강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노화는 당연한 것으로 우리의 신체 기능은 나빠지기만 하고 더 좋아질 수 없다고 하는 것이 통념이다. 가끔 보면 70대가 넘었음에도 40대보다도 더 건강하고, 더 근육이 많은 사람들이 보인다. 그들은 지금도 매일 운동하고 생활습관을 건강하게 유지한다. 이런 사례들이 저자가 주장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까?



랭어 박사는 심리학자로서 '말의 힘'을 강조한다. 성형 수술을 한 사람,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연상의 배우자를 둔 사람, 어린 자녀들을 출산한 사람 등 여러 자극에 노출되고 또 얼마나 의식을 집중하는가에 사람의 삶은 확실히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저자는 책을 통틀어서 '의식의 집중(mindfulness)'이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언급한다. 건강한 육체를 가진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서 마음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개념이다. 이런 마음의 힘은 우리가 잘 아는 '플라시보 효과' 실험에서 검증된 적이 있다.



빅터 프랭클 박사가 쓴 <죽음의 수용소에서>라는 책을 보면 이런 심리적인 힘이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다. 똑같은 환경에서 삶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의 차이가 얼마나 큰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놀라운 따름이다.



우리나라 펜싱 국가대표 박상영 선수가 '할 수 있다'를 연신 외치면서 금메달을 딴 경기를 기억할 것이다. 객관적인 실력만 보았을 때는 금메달이 불가능한 상황이었지만 스스로에게 외친 마음의 소리가 기적을 만들게 했던 것은 아닐까?



랭어 박사가 실험하고 보여주는 모든 사례가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 어떤 면에서는 기존의 의학과 배치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인간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또 다른 기회의 발견이라 본다. 몸이 건강해야 생활도 즐겁다. 그 몸을 지배하는 마음의 힘을 믿고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따라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