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자존감 공부 - 천 번을 미안해도 나는 엄마다
김미경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P.271. 스스로를 잠룡이라 생각하는 자만이 진짜 용이 될 수 있다. 힘들수록 기어이 내 시간에 다른 이름표를 달아보자. 그리고 마음속으로 스스로에게 말해주자. 나는 '잠룡' 이라고.
<언니의 독설>에서는 30대 여성들에게, <꿈이 있는 아내는 늙지 않는다>에서는 아내들에게 삶을 살아가는 자신감과 꿈을 심어준 김미경 작가가 이번에는 ‘엄마’들에게 아이들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21세기북스에서 나온 <엄마의 자존감 공부>를 통해서 우리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가정의 주인공들에게 진정한 행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행복으로 가는 길에 가장 큰 밑천이 ‘자존감’이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행복한 삶을 이루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있다. 열심히 달리면서 우리 아이들에게도 열심히 달리라고 재촉한다. 우리말도 잘 못하는 어린아이들을 영어 유치원이라는 틀에 가두고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해서 걷기도 벅찬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선행’이라는 명목하에 인수분해를 가르친다. 걷기부터 가르쳐야 하는 아이들에게 함께 뛰자고 한다. 그래야 나중에 행복하다며 아무도 모르는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의 행복을 저당잡히게 한다. 어떤 것이 진정한 행복일까? 지금 아이들이 하고 싶은 것 마음껏 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게 진정한 행복이 아닐까? 하지만 현실에서 오늘에 만족하며 행복해하는 아이들이 몇이나 될까?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행복의 기준에 갇힌 우리 아이들에게 미안하기만 하다. 그런 미안함을 저자는 충분히 바꿀 수 있고 그 변화의 중심에는 아이들의 자존감을 찾아주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 역할은 엄마들의 몫이라 말하고 있는 듯하다.
이 책의 내용은 성적이 우수한 아이보다는 자존감 있는 아이로 키우면서 우리 아이들에게 행복한 미소를 찾아주는 방법을 담고 있다. 아이들의 자존감이 아이들의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듯이 엄마들의 자존감 회복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엄마의 자존감 회복은 아이들에게 더욱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너무나 공감하는 내용들이 많아서 반가웠고 아이들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저자의 대처 방법에 그렇지 못했던 부모로서 아이에게 너무나 미안하다. 역시 아이의 행복은 부모에게 달려있는 듯하다. 아이가 갈 길을 정해놓고 따라오라고 하는 부모가 아닌 아이가 갈 길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고 아이가 걷는 길을 함께 걸어줄 수 있는 부모가 되어야겠다.
이 책의 매력은 유쾌한 문장과 위트 있는 글을 통해서 조금은 지루할 수 있는 이야기를 재미있고 흥미롭게 풀어가고 있는데 있는 것 같다. 행복한 아이와 함께 행복해질 수 있는 엄마의 이야기를 보면서 행복의 진정한 의미와 우리 사회가 함께 극복해야 할 교육 문제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우리 아이들에게 학원에서의 지식 습득이 아닌 가정에서의 행복을 꼭 찾아주고 싶다. 어른들의 틀에서 아이들을 풀어줄 에너지를 주는 고마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