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략의 한비 지혜의 노자 - <한비자>로 나를 세우고 <도덕경>으로 세상을 깨치다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나 상반되게 느껴지는 제자백가 중의 두 사상인 법가의 [한비자] 와 도가의 [도덕경]의 내용들을 한 권의 책속에서 만나 본다. 법과 같은 제도를 중시하고 그 제도의 엄격한 적용을 중시한 한비와 무위의 자연으로 돌아가 순리에 순응하며 살기를 주장했던 노자를 한 권의 책속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흥미로운 경험이었다. 수천년전 위대한 사상가들의 생각을 접해 볼 수 있다는 설레임으로 책장을 넘긴다. 오랜 시간의 간극에도 꾸준하게 연구되고 사랑받는 사상에는 어떤 매력이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이 책의 구성은 크게 처세편과 수양편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처세편에서는 한비의 지략에 대해, 수양편에서는 노자의 지혜에 대해 많은 고사와 이야기들을 보여주고 있어서  우리가 살아가는 대에 필요한 지략과 지혜를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해주는 듯해서 좋았다. 자칫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이지만 다양한 이야기들과 예시를 통해서 두 위대한 사상가의 생각과 삶에 조금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P.15. 법은 시대와 함께 진화한다.


솔직히 현재 우리의 삶에 적용하기에는 두 사상가의 이론은 조금은 무리가 있다는 생각을 한다. 제도의 엄격한 적용을 주장한 한비의 사상을 현재의 생활에 적용한다면 많은 인권 문제들과의 상충에서오는 문제들을 해결해야할 듯하다. 또, 욕심을 버리고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라고 말하는 노자의 생각을 받아드리기에는 우리들의 삶이 너무나 많은 욕심들로 채워져 있는것이 현실인 듯하다. 아마 그래서 우리의 삶에는 법가나 도가보다는 유가의 사상이 더욱 더 밀접한지도 모르겠다.


P. 141. 성인은 생명을 중시하고 자신을 아낄줄 알며, 분에 넘치는 일에 욕심을 내지 않는다.


저자는 이 두 위대한 사상가들의 생각과 삶을 통해서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독자들에게 보여주려고 한 듯 싶다. 많은 예시들을 통해서 교훈을 얻고, 현재 독자들의 삶속에 한비의 지략과 노자의 지혜를 녹아들게 하고 싶었던것 같다. 언제나 좋은 책은 살아있어 행복하는 생각을 갖게 해준다. 그런 행복함을 느끼게 해주는 좋은 책을 만나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