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의 실력, 장자 - 내면의 두께를 갖춘 자유로운 생산자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3월
평점 :

"위즈덤하우스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장자 해석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초대 건명원建明苑 원장을 역임한 최진석 교수의 이야기를 다시 만났다. 언제 만나서 언제 들어도 늘 흥미롭고 재미난 이야기를 풀어놓는 엄청난 스토리텔링 능력을 가진 철학자 최진석은 《삶의 실력, 장자》에서도 그 능력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p.134. 철학을 공부하고 싶으면, 우선 과학을 공부하십시오.
《장자》원문을 제시하고, 해석하고 다시 그 속에 숨은 뜻을 설명하는 구성으로 《장자》33편 중에서 〈우언〉편, 〈추수〉편, 〈소요유〉편 그리고 〈제물론〉편 일부를 담고 있다. 거기에 '장자 사상의 배경(1장)'을 시작으로 장자 사상에 대한 흥미로운 설명이 간략한 중국 철학사와 함께 실려있어서 지적 호기심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있다. 공자가 '덕의 파괴자'라 칭한 '향원'과 장자의 '우물안 개구리'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장자》의 철학사적 의미는 무엇일까?

저자가 '나가며'에서 《장자》의 10분의 1분량을 담았다고 말하고 있듯이 《삶의 실력, 장자》에서는 《장자》의 모든 내용을 만날 수는 없다. 하지만 《장자》속에 숨어 있는 깊은 사유는 충분히 만날 수 있다. 또, 춘추전국시대의 장자가 보여주고 싶었던 생각을 오늘 우리 상황에 견주어 들려주고 있어서 너무나 크게 '공감'하며 만날 수 있다. 너무나 훌륭한 조력자를 통해서 《장자》의 매력을 촘촘히 둘러볼 수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
p.251. 도가적 경지에 이르는 출발은 노력입니다. 두껍게 쌓는 것입니다.
중국철학 도가 하면 '현실을 벗어나려는 사상'이 떠오른다. 하지만 저자는 이것이 오해라고 이야기하며 그 근거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현실에 개입하는 방법이나 태도가 유가와 다를 뿐 도가도 유가와 마찬가지로 현실을 개선하려는 의지로 가득 찬 사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자신을 표기하는 글자 기己, 아我 그리고 오吾가 가진 의미를 알려 주는 것도 흥미롭다. 특정한 가치관이나 이념, 진영에 빠진 나를 회복할 수 있는 길로 장자에서 제시한 '오상아吾喪我'란 무엇일까?

노자는 《도덕경》에서, 장자는《장자》에서 우리의 두께를 묻고 있다. 우리 가운데 한 명으로 살 것인지, 고유한 나로 살 것인지 묻고 있다. '좋은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것'을 찾으라 말하고 있다. 자잘한 이념과 특정한 가치와 굳은 신념에 갇히지 말고 《삶의 실력, 장자》가 알려주는 '자쾌'를 꼭 만나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