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되다 - 인간의 코딩 오류, 경이로운 문명을 만들다
루이스 다트넬 지음, 이충호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성에서 미생물을 찾는 일에 열중하고 있다는 웨스트민스터 대학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수 루이스 다트넬이 들려주는 너무나 흥미로운 이야기의 시작을 만나보았다. 이 책은 《인간이 되다 Being Human 머리말1장 문명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담은 샘플북이다.


p.14. 인간이라는 존재는 우리의 모든 능력과 제약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결과이다. 즉, 우리의 결함 능력 이 모두가 현재의 우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인류의 역사는 양자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며 진행되었다.


적은 분량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인간이 되다》전체 내용을 개괄한 머리말을 통해서 이 책에서 들려줄 흥미로운 이야기의 전체적인 흐름을 느낄 수 있었다. 머리말을 통해서 저자는 인류의 역사를 톺아보면서 인류가 만들어낸 문명에서 '기본적인 인간성'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는지 보여주고, 인류가 가진 독특한 특성과 다른 동물과 공유한 인류의 몸, 행동의 특징도 살펴본다고 밝히고 있다.


모든 인류가 공유하는 또 다른 위유전자는 의도치 않게 세계적으로 악명 높은 조직을 탄생시켰다는 위유전자僞遺傳子도 만나보고 싶고, 콜럼버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이라크 침공의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특정 인지 편향에 대한 이야기도 만나보고 싶다. 머리말만 읽었는데도 이 책을 소장하고 싶다는 욕심에 빠지게 된다.


p.49. 사람은 협력이 기본 상태로 내장된 것처럼 보이며, 이것은 상호 작용에서 페어플레이를 요구한다.


머리말이 《인간이 되다》의 매력을 제대로 어필하고 있다면, 1장 문명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이 책이 가진 가치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다음 이야기들이 궁금해지는 강한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인간이 가진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과학적인 탐구와 함께 멋지게 풀어낸다. 우리 뇌에서 진화한 사회적 소프트웨어에는 무엇이 있을까? 저자가 들려주는 협력과 이타성, 상호 이타성, 간접적 호혜성 그리고 '사기꾼 찾기' 또 뒷담화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웠다.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인간이 버리고 또 택한 본성들을 통해서 인류를 새롭게 알 수 있게 해주는 매력적인 책이다.


"흐름출판으로부터 도서(샘플북)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